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과연 좋을까. 이들의 수명은 보통 초파리에 비해 짧았다. 인간에게도 셰이커와 같은 기능을 가진 유전자가 있다. 최 교수는 “잠은 항상성이 있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든 평균 수면시간을 채우려는 경향이 있다”며 “유전자에 문제가 생겨 항상성이 충족되지 못하면 반대급부로 수명이 단축되는 ...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대뇌피질을 34개 영역으로 세분해 각각의 회백질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뇌의 기능과 뇌 발달의 속도가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예를 들어 시각, 청각, 후각 등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이나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은 10살 전후부터 회백질이 얇아진다. 그 뒤에 공간 방향, 발성, 언어 발달에 ...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받은 김대호, 고충훈, 문찬웅 학생 조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컴퓨터 구성 부품의 기능’을 연구했다. 학생들은 컴퓨터의 부품을 하나씩 빼고 작동시켜 보는 방법으로 실험을 했다. 첫 보고서를 본 선생님은 “몇 학년 수준의 보고서인 것 같냐”고 물었다. 그도 그럴 것이 ‘부품을 빼면 제대로 ... ...
- 미션 임파서블! 월-E의 큐브 대작전수학동아 l2012년 02호
- 내 검색기능을 이용해 큐브를 설명해 줄 사람을 찾아봐야겠어. 쓰레기 처리 로봇이 그런 기능도 있냐고? 말했잖아.그 사이 업그레이드 됐다고. 어디 보자…. 플라톤? 큐브에 대해 가장 많이 연구한 수학자가 플라톤이라고 나오네.자기 자리만 좋아하는 큐브플라톤 박사님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 ...
- '톡톡ʼ스마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사용할 수 있는 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서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으면 할 수 있는 기능이 확 줄어들거든.그런데 하나 더 생각할 게 있어. 어떤 용도로 스마트패드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해. 내려받은 전자책을 읽고 계실 지도 모르니까. 어떤 기기를 쓰는지 알면 대충 용도를 짐작할 수 있어. ...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기능을 다 안다고 해도 유전자가 제대로 발현되게 할 수 없어. 유전자는 혼자서 그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유전자에 따라 하는 역할이 달라지기도 하거든. 예를 들면 물고기의 아가미를 만드는 유전자가 인간에서는 허파를 만들게 한단다. 이 두 가지 문제만 해결된다면 용을 찾으려 애쓰지 ... ...
- 2012년 과학동아가 더 가까워집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일상화합니다. 독자 엽서에 담았던 Q&A와 안테나, 독자의견(이달의 베스트 기사) 등 모든 기능이 개편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지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코너에 보내주신 청소년 독자들의 기사를 메인 화면에서 독자들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참여 독자 선물도 ...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암세포를 병원균으로 인식해 항체를 만들고 림프구 반응을 촉진시킨다. 백신은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암세포 표면에 있는 MUC1 단백질을 공격해 항암효과를 낸다.연구팀은 이 백신을 유방암 모델 쥐에서 실험한 결과, 종양이 평균 80%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산드라 젠들러 교수는 “이번 ...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난 해 11월 15일, 서울과 인천, 구리, 수원, 안양 등지에서 200여 차례 빈 집을 털었던 범인이 잡혔다. 최첨단 기계로 무장하고 있을 것이란 예상과 달리 범인의 주머니에는 7개 ... 있기 때문이다. 플러그의 가장 첫 번째 구멍에 들어가는 핀도 기본형으로 해야 열쇠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시각 정보를 얻으려는 시도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뇌의 활동을 영상화하는 기술인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는 것이다. 바늘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영상의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분명 머리 외부에서도 뇌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 2008년 일본 국제전기통신기초기술연구소(ATR) 연구팀은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