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알코올vs에탄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때문에 사람들은 에탄올을 이용해 술을 만든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마시면 뇌의 일부
기능
이 저하되면서 신경이 둔해진답니다. 그렇다고약국에서 파는 에탄올을 마셔선 안 돼요. 공업용 에탄올에는 몸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 있을 수도 있거든요. 에탄올은 소독을 하는 데 쓰기도 해요. 병원에서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로봇이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군사용 무인정찰기, 무인자동차처럼 당분간은 특정
기능
을 담당하는 인공지능이 주로 쓰일 전망이다. 엄밀히 따지면 인공지능이라기보다는 요즘 유행하는 스마트 제품이다.물론 종국에는 SF영화에서 볼 수 있듯이 인공 뇌를 가지고 사람처럼 생각하는 로봇도 등장할 ... ...
선 연결 없이 노트북 화면이 50인치 TV속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920개의 줄로 총 207만 3600개의 작은 점들이 한 화면을 만든다. 최근에는 아예 어댑터
기능
을 집어넣은 TV도 나오고 있다. 어댑터를 연결하는 불편함마저도 없앤 것이다.앞으로 어디까지 발전할까올해 발표될 예정인 와이다이 3.0 버전에서는 3D TV를 지원할 예정이다. 3D 영화 파일을 노트북으로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방조직으로 이뤄진 패드가 들어 있다. 동물마다 발바닥 패드의 모양과 두께가 달라
기능
도 다르다.소금쟁이는 발(다리) 끝에 미세한 털이 무수히 많이 나 있다. 털 사이사이에 들어간 공기는 서로 뭉쳐 ‘공기쿠션’이 된다. 소금쟁이가 물 위에 떠 있거나 사뿐사뿐 걸어도 물에 빠지지 않는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치지 않고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
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클라우드(Cloud) 로봇’이라는 개념도 슬금슬금 나온다. IT분야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로봇에 결합됐다는 의미다. 로봇 플랫폼에 다양한 콘텐츠와 응용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접기’ 등에도 존재한다. 부모님과 조부모님의 혀 운동능력을 알면 나에게도 어떤 혀
기능
이 숨어 있는지 간단히 알 수 있다.발음에 좌절한 당신, 나무젓가락을 입에 물어라잠재 유전자도 없고 혀 운동능력도 부족한 사람은 ‘뻔하지만’ 혀를 혹사시켜야 한다. 부지런히 혀 근육을 움직이고 정확한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그러나 금속이나 반도체로 인공 뇌를 만들면 회로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어서 이런
기능
을 흉내 낼 수 없다.IBM은 어떤 방법으로 이를 구현했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IBM의 발표 직후 영국 BBC는 리차드 쿠퍼 런던대 인지과학과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발달한 때다. 즉 눈으로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발달하며 페로몬을 감지하는 유전자는
기능
을 잃었다는 의미다.하지만 사향, 용연향처럼 페로몬 성분이 들어 있는 향수를 쓰면 분명 이성을 끄는 효과가 있다. 이런 향은 고대 이집트에서도 최음 작용을 위해 이용했다. 지금도 병원에서 성적 자극에도 ... ...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피할 수 있는
기능
을 말합니다. 좁은 의미에서는 상대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지 않는 은폐
기능
을 의미합니다. 레이더는 B-2 스텔스 폭격기를 고작 참새 크기로 인식합니다. 날개 길이가 52.4m나 되는데 말이죠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공신경망은 뇌의 신경회로를 단순화해 공학적으로 구현한 모델로 실제 뇌와는
기능
이 다릅니다. 너무 단순하고 인공적이라 실제와는 거리가 멀죠. 다만, 알고리듬 측면에서 활용할 여지는 많아서 공학에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이 씁니다.”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