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인
보증인
d라이브러리
"
증거인
"(으)로 총 1,793건 검색되었습니다.
50만원 PC, 언제 출현할까
과학동아
l
198905
PC의 가격인하와 국내수요의 확대는 밀접한 함수관계를 이루고 있다. 저가 PC의 전망을 알아본다.'컬러TV가격으로 컴퓨터를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정보화시대를 맞아 '컴퓨터 문맹'을 벗어나려고 컴퓨터판매장을 찾아본 사람이면 누구나 갖게되는 생각이다. 그러나 컬러TV를 살 수 있는 50만원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04
만물이 소생하는 봄을 맞아 생물의 발생 전과정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그 해답을 듣는다. 조정현상은? 유전자의 등가성은? 암과 발생과의 관계는?오늘 날 이 사회에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나름대로의 일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직무의 분담은 사회가 발달될수록 더욱 세분화되는 ... ...
대기권 밖의 망원경
과학동아
l
198904
오래전인 1962년에 지구 주위 궤도에 커다란 천체 망원경을 설치할 것이 제안되었는데 1989년인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마침내 그것이 실현될 듯하다. 천체를 탐사하게 될 94인치의 반사경을 가진 이 망원경은 60년전 우주 팽창을 증명한 '에듸윈 허블'을 기리기 위하여 '허블 우주 망원경'이라 명명될 것 ... ...
시작도 끝도 없다-플라즈마 우주론
과학동아
l
198904
통설이 돼 있는 우주탄생의 이론 대폭발(Big Bang)설이 수십년만에 처음 도전을 받고 있다. 새로운 가설은 '플라즈마 우주론'(plasma cosmology)이라는 것으로 이 우주론을 토의하기 위해 지난 2월 천체 물리학자들이 미국에서 회의를 갖기도 했다.이 이론은 컴퓨터 모의실험과 최근의 우주관측등에 의해 지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04
풀밭에 눕고 싶어도 안심하고 누울 수 없었다. 신(腎)증후출혈열로 이름이 확정된 한국형출혈열 때문.'신의 형벌'. 체온이 40℃까지 올라가고 발병 후 4~5일이 지나면 신장이 파괴돼 소변도 볼 수 없었던 이 무서운 질병의 이름이 몇해 전에 확정되었다. 1913년 이래 출혈성신우염, 유행성출혈열 또는 ... ...
미친듯한 집중력, 어느 순간에 영감 일으켜
과학동아
l
198903
누구나 천재가 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필자(마이클 하우·영국 엑스터대학)의 대답은 ‘노’이다.분명 천재는 특별한 창조력을 갖고 있어 보통사람과 다르며 일반인들은 ‘천재들은 별종(別種)의 인간’이란 인식을 깊이 간직하고 있다.이러한 인식은 천재의 재능과 그들의 현란한 업적만 ... ...
금강산
과학동아
l
198903
전국이 금강산 열기로 가득차 있다. 구비구비 1만2천봉마다 기암괴석(奇岩怪石)으로 장관을 이루고 있는 금강산이지만, 안타깝게도 국내에 금강산의 학술적 자료가 너무도 부족하다. 이미 나와있는 자료에 근거해 금강산의 지형·지질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금강산은 강원도의 북동부에 위 ... ...
인류최초의 발견─불의 사용
과학동아
l
198903
우리 인류 또는 우리의 조상인 원시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중요한 발견은 불의 사용이다. 그러나 우리는 얼마나 오래전에 이 발견이 있었는지 알 수 없었다. 허나 최근 두명의 남아프리카 고고학자들이 이제껏 생각되어졌던 것보다 훨씬 전에 불의 사용이 있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물론 불 ... ...
현장학습 경험 되살려 주입식 교육 탈피 노력
과학동아
l
198903
심정 : 대만 지질 학습탐사가 이제 끝났읍니다. 짧은 일정이긴 하지만 평소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해외탐사였고 오랜만에 가르치는 입장을 떠나 배우는 입장에서의 현장학습은 의미가 있었을줄 압니다. 탐사기간 동안 보고 느낀 점을 말씀해주시고, 앞으로 이 행사가 좀더 충실하게 진행될 수 있게 ... ...
산불의 냉각효과
과학동아
l
198902
캘리포니아주와 다른 여러 서부지역을 휩쓴 무서운 산불은 산야를 황폐시켰지만 또한 과학에 기여하기도 했다. 산불은 인류의 생존에 중대한 의미가 있는 하나의 과학적 논쟁거리에 시사를 던져주었다.이 논쟁은 1980년에 시작되었다. 이 해에 처음으로 직경 10마일 크기의 소행성이나 혜성이 6천5백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