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4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외계의 전파 신호, 정확한 위치가 잡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어두운 부분에서 발생했다. 자기이온 측정 결과도 ㎡당 14라드(rad, 방사선 흡수선량의
단위
)로 자기장이 강하지 않은 곳에서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FRB 121102는 왜소은하의 중심에서 발견됐을 뿐 아니라 자기이온 측정값이 ㎡당 10만 rad로 자기장이 강력한 곳에서 형성됐다. 별의 활동이 ... ...
1000조분의 1초
단위
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금 나노입자에 레이저를 쪼여 음향 진동을 발생시키고 펨토초
단위
로 전자빔을 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연구진은 또 ‘전자직접검출 카메라’를 검출기로 사용해 검출 한도를 10배 정도 높였다. 광학현미경은 투과나 반사된 빛을 이용해 ... ...
美 실리콘밸리 노벨상 '브레이크스루상'에 초중력 분야 과학자들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나온 우주에 존재하는 입자 관한 내용을 더 깊게 정리했다고 평가받는다. 만물의 최소
단위
가 점 입자가 아니라 진동하는 끈이라는 물리이론인 ‘끈 이론’의 근간이 되기도 한다. 브레이크스루상을 수상한 세 연구자는 300만달러(약32억원)의 상금을 받으며 시상식은 오는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활성은 수백 배까지 차이가 난다. 논문에서 실험참가자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평균 93U(
단위
)로 최저 1에서 최고 371에 이른다. 이처럼 효소 활성 차이가 크다 보니 똑같은 음식을 씹어도 느낌이 크게 다르다. 침 속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큰 사람들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 ...
‘무어의 법칙’ 뛰어넘는 분자컴퓨팅 실용화 단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로 ‘분자컴퓨팅’이 거론된다. 분자를 반도체 회로의 최소
단위
로 이용하는 분자컴퓨팅은 기존 실리콘 반도체 대비 집적도를 수천배 이상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장성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 ...
'궁극의 저온'을 꿈꾸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섭씨 영하 273.15도를 기준점으로 삼는 ‘절대온도’라는 온도 체계다. ‘켈빈(K)’을
단위
로 쓴다. 이 체계에서 온도의 크기는 입자가 지닌 에너지의 크기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절대 0도(0K)에선 분자나 원자가 지닌 에너지가 최소값이 된다. 기체 분자나 원자마저 얼어붙은 듯 움직이지 않고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경쟁자들을 멀찌감치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생물학자들은 단백질의 기본
단위
인 아미노산이 어떻게 입체적으로 배열되고 접혀 3차원 구조의 단백질을 형성하는지 연구한다. 인류의 난제로도 불리는 3차원 단백질 구조 예측이 가능해지면 질병이 생기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수문장의 움직임 하나하나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7
탐페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세포를 감싼 세포질의 거의 모든 움직임을 이제 원자
단위
로 볼 수 있게 됐다”며 “ABC 수송체의 수송 원리에 관한 질문에 곧 대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ICT 수출 3대 주력품목 부진으로 8개월째 감소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6월 ICT 수출액(
단위
억달러). 과기정통부 제공. 6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은 148억3000만 달러, 수입액은 85억5000만달러로 62억8000만달러 흑자를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그러나 주력 ICT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등 3대 주력품목 부진 영향으로 22.4% 줄어들면서 8개월째 수출액이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상태에서 가시가 돋아나와 고슴도치 모양의 입자로 변했다. 입자의 밀도는 1초동안
단위
면적 당 도달하는 전자의 수에 비례하지만 액상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는 530~1120 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의 파장대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가 뾰족한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