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64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기상이변까지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19.09.20
일으킨다. 엘니뇨의 발생과 소멸은 2년가량 걸리는데 기존 엘니뇨 예측 기법은 1년
단위
예측만 가능했다. 절반 이하만 맞힐 수 있어 예측 가치가 떨어졌다. 3년간 인공지능(AI)을 공부한 한국의 기상학자가 AI를 활용해 엘니뇨 예측 기간을 6개월 이상 늘리는 데 성공했다. 함유근 전남대 ... ...
블랙홀 되기 직전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9.18
‘네이처 천문학’에 이달 16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견된 중성자별은 1000분의 1초
단위
로 전파를 내뿜는 ‘밀리초 펄서’다. 펄서는 자전하면서 주기적으로 전자기파를 내뿜는 중성자별이다. 별이 자전하면서 등대가 돌며 빛을 사방에 뿌리듯 전자기파를 내뿜는다. 이 중성자별의 지름은 약 3 ... ...
NASA, 달 궤도 미리 살펴볼 '길잡이' 큐브위성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위성은 전자레인지만한 크기에 하당하는 12유닛(U)의 큐브위성이다. U은 큐브위성의 크기
단위
로 길이 10㎝ 정육면체가 1U다. 캡스톤 위성은 내년 12월 발사예정으로 발사 3개월 후 달에 도달해 6개월간 임무를 수행한다. 달에 1600㎞까지 접근했다가 최대 7만 ㎞까지 멀어지는 NRHO를 돌며 현재 달 궤도를 ... ...
[팩트체크]"자석으로 통증 고친다?" 효능 의문 효도상품 건강 자석목걸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보통 의료용 자기발생기 목걸이가 내는 자성은 300~500가우스(G·자화 강도 및 자속 밀도
단위
)다. 이는 냉장고 자석보다 약 10배 정도 강한 수치다. A사는 자신들의 제품이 2300G에 달해 건강에 특히 효과적이라고 한다. 제품의 광고에는 과학적인 실험 결과는 따로 없었다. 하지만 이 제품은 ... ...
AI "쓰레기 무단투기 딱 걸렸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시각 AI 원천기술을 확보해 강력한 국제 경쟁력을 갖췄다. 박 실장은 “연구자만 1000명
단위
인 글로벌 IT 기업과 비교해도 시각 AI 기술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것은 이런 탄탄한 백본망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쓰레기 투기 장면을 감지하는 기존 AI(왼쪽)와 ETRI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AI ... ...
"서울 CO2 증가량, 세계 최대 공업지역 中광저우와 맞먹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온실가스 관측위성을 두 대씩, 중국도 한 대씩 운영하며 자국내 영토를 가로세로 1~2km
단위
로 촘촘히 나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탄소배출국가이자 경제대국인데 아직 독자적인 온실가스 위성이 없는 것은 과학 연구는 물론 국내외 정책 ... ...
"박사 연구원은 국가 연구경쟁력의 허리. 인재 관리 혁신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우리 박사급연구원의 경우 연구책임자의 3년 이하 프로젝트에 고용되므로 3~12개월
단위
의 계약을 하고 잦은 이직을 하며 연구조제를 변경할 수 밖에 없어 한 분야 전문지식을 축적하는 게 불가능하다”며 “독일의 경우 6년간 고용을 보장할 뿐 아니라 자녀 한명당 2년씩 연장도 된다”고 말했다. ... ...
수레시 난양공대 총장 "작은나라의 젊은 대학, 협력만이 살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한국도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때문에 1990년대 중후반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5년
단위
의 R&D 예산 ‘RIE(Research Innovation and Entrepreneurs)’를 짜기 시작했다. 지금은 2016~2020년에 해당하는 RIE2020가 투자되고 있는데 5년 간 약 196억 싱가포르 달러(17조878억 원) 규모다. 정부의 이런 지원은 어린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송석호 한양대 교수...신개념 광소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에너지 손실 문제와 처리 속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나노광학 기술은 빛을 나노
단위
로 전송하는 고집적 광학회로 구성이 가능한 메타물질 연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메타물질이란 자연계에 없는 물질의 특성을 만드는 인위적이고 반복적인 패턴 구조를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에너지 ... ...
황폐기물 처리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다기능성 황 기반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황과 파라-디아이오도벤젠의
단위
분자를 고온에서 녹여 합성할 때(용융중합법) 실리콘 오일을 소량 첨가해 황 함량을 조절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황 고분자의 신축성을 150~300%까지 조절하는 것은 물론 자외선을 이용한 자가 치유,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