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따라 치료 효과가 크게 달라지고 다양한 정신질환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점은 지금껏
한계
로 지적돼 왔다.새 치료법은 일상에서 맞부딪치는 정교한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기존 사이버치료방법과 많이 다르다. 이에 대해 김재진 교수는 “정신분열증 환자는 자신의 욕구를 설명하고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식한다.장점 : 비휘발성. 수행속도 빠름. 반복 사용 가능.단점 : 강자성체 사이 간격에
한계
가 있어 집적도 높이기 힘듦. 상대적으로 비용 많이 듬.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03. 빠른 비트에 몸을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비를 오게 하거나 태풍을 약화시키며 해류를 제어해 날씨를 바꾸는 등 기상의
한계
에서 벗어난다. 동해에 매장된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뽑아내 쓸 수 있는 기술이 구축되고 생체 전기에너지를 배터리로 바꾸는 기술이 개발된다.[ 2016~2020년 등장할 기술들 ]>>> 2016• 고혈압 및 당뇨병 원인 규명(2014)•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신화는 계속되는가? 불투명하다. 2010년이 되면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
한계
에 부딪힐 수 있다. 무어와 함께 디지털 혁명도 끝나는가.제2의 디지털 혁명이 다가오고 있다. 선봉장은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황창규 사장. 황 사장은 2002년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이 1년에 2배씩 늘어날 것이라는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되는 것이다. 이렇게 기하급수는 물리적, 공간적으로 제한돼 있는 인간과 자연에
한계
를 정해준다.무어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메모리의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도 기하급수의 법칙이다. 개인용 컴퓨터(PC)에 들어가는 하드디스크 용량이나 인터넷 트래픽은 황의 법칙이라는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발견했을 정도였으니까. 이 무렵 발견된 소행성은 대부분 당시 아마추어 장비의
한계
등급인 15~16등급 정도의 밝기인 것들이었다.1990년대 중반 들어서 ‘딥 임팩트’와 ‘아마겟돈’ 같은 영화가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 영화는 우주를 떠도는 작은 소행성이나 혜성의 지구 충돌을 다룬 것으로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정확한 단백질 구조를 얻을 수 없다. 이것이 점으로 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가진
한계
였다.김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 대신 ‘면’을 사용했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표면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원자의 크기까지 고려한 것. 이 방법을 쓰면 겉으로 보기에 같은 평면에 있는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같은 순간적인 현상을 규명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메모리 분야에서도 반도체의 저장
한계
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으로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필름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레이저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그것을 몰랐다”며 “과학자들은 최근 인간의 유전자를 식물에 맞춰 새로 합성하는 등
한계
를 하나하나 극복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모유를 짜내는 젖소 등 동물에서 의약품을 만드는 연구가 일부 환경단체의 반대 및 동물과 인간간 질병 전염 문제 등으로 다소 주춤하면서 많은 과학자들이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생각을 보내 컴퓨터에 글자를 쓸 수 있게 된다.이기태 사장도 휴대전화 컨버전스의
한계
는 없다고 강조하면서 “2006년에는 뇌세포까지 자극하는 휴대전화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뇌와 모바일 기기를 결합하는 기술을 향후 1~2년 안에 발표할 것을 예견했다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