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완전한 로터리형은 아니다 왕복운동은 정지와 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 운동속도에는
한계
가 있다 이에 반해 회전운동은 정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아주 빠르게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왕복운동을 하는 내연기관이 회전운동을 하는 로터리 엔진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관측자의 위치에서 천체의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하강하는 비행기나 끝없이 이어진 나선형 단백질 구조, 마구 떠다니는 전자까지 평면의
한계
를 뛰어넘는다.INTERACTIVE PILLOW외로움을 달래주는 첨단 베개. 통신 장치가 들어있어 침대에 누워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애인과 통화할 수 있다. 쿠션은 전기장 발광선으로 짰으며 웹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선수가 막바지 코스를 달릴 때 분비되는 물질도 바로 엔돌핀이다. 그 덕에 고통스러운
한계
상황을 극복하고 완주할 수 있다. 공포마니아들은 이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맛’을 즐기는 것이다.진화의 역사에서 공포를 느끼지 않는 동물은 도태됐을 게 분명하다. 그런데 왜 유독 인간은 공포를 즐기는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높아져 관측지점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지만 위성에 실을 수 있는 안테나의 크기에
한계
가 있다. SAR는 작은 안테나가 고속으로 움직여 커다란 안테나를 흉내내는 방식이다. 2006년 봄에 발사될 ‘테라SAR-X’는 5m 길이의 안테나로 최고 1m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해상도 1m는 지상에서 가로와 세로가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자유자재로 조절해서 이식할 수 있게 하는 거에요. 줄기세포로 난치병 치료
한계
를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봐요.맥쿨록 : 난치병 정복이 과연 단시일 내에 가능할까? 아무튼, 너무 조바심은 갖지 말아라.(톰슨과 이배아 등장. 맥쿨록, 톰슨을 발견한다.)맥쿨록 : 이봐, 톰슨 박사!톰슨 : (맥쿨록 쪽을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종량제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2003년 6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정액제의
한계
를 지적한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활용한 수익창출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새로운 요금체계를 요구하는 통신업체들의 주장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수익악화, 불법복제 등으로 인한 트래픽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공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가공이 가능한 박막의 두께와 패턴의 크기가 점차 물리적
한계
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10년 정도는 무어의 법칙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집적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결국 언젠가는 멈추게 될 것이다.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무어의 법칙과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 있었다.하지만 베타맥스는 이런 기술적인 우위만으로 시장에서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한계
가 있었다. VHS를 택한 JVC를 비롯해 다른 회사에서도 이내 이런 기능들을 장착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시간이 지나면서 베타맥스와 VHS를 이용한 기기들은 가격이나 제품의 질이 점차 비슷해졌다. 그렇다고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차츰 MP3플레이어에도 휴대전화처럼 화면이 생길 것이고 이 때 화면의 크기는 분명
한계
가 있겠지만 화소수 만큼은 황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디지털 발전 속도 빨라져디지털 세계는 관성의 법칙이 지배한다. 외부에서 방해하는 힘이 없는 한 진행 방향으로 계속 발전한다. 발전 주기를 시간으로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극 지역과 중위도 대기순환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다. 극 진동은 우리나라 장기예측의
한계
를 보완하고 기상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분야라고 생각한다.우리나라에서도 해양연구원 산하 극지 연구소에서 남극과 북극에 관측기지를 설립해 기상, 고층대기, 지진파, 지자기는 물론 동식물상과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