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은 과감히 미래형 로켓으로 액산액수의 극저온 로켓엔진을
선택
했다. 현재 일본의 극저온 엔진은 H-2로켓의 1, 2단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의 다네가시마 우주센터보다 더 좁은 나로우주센터를 고려할 때 타산지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북한에게 선두를 빼앗긴 자존심을 ... ...
내 마음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죽여라! 죽여라!”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에는 18세기 말 프랑스혁명 시기의 파리가 생생히 묘사돼 있다. 교과서에 ... 세네카는 물론 과학자가 아니었다. 하지만 화를 억제하지 못하는, 자신의 행동을 적절히
선택
할 줄 모르는 나약한 인간의 본질을 잘 알고 있었다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안에서 0.01%의 정밀도로 검증된 일반상대성이론을 바꾸지 않은 채 거대한 규모에서만
선택
적으로 중력을 수정해야 한다. 이론적으로는 중력에 질량을 도입한다든지, 혹은 숨은 힘을 도입해 거대 규모에서 중력을 수정할 수 있다. 이 수정중력 현상을 관측하는 것은 현재 세계 우주론자들의 주요 관심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벽지는 단순한 종이가 아니다. 종이 위에 다양한 색지를 입히거나 아름답고 화려한 무늬로 디자인하기도 한다. 색이나 무늬에 따라서 때로는 무거운 마음을 가볍게 해주 ... 봄철 이사를 앞두고 도배를 할 예정이라면 친환경 벽지를 한번쯤 고려해 봄 직하다. 물론
선택
은 독자의 몫이다 ... ...
새 학기 어떻게 시작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진행하거든요. 의무적 전달사항 말고도 공식적으로 전달하지 않는 정보들이 많습니다.
선택
사항인 것들은 암암리에 담당 선생님과 친하거나 적극적인 학생들에게만 흘러 들어갑니다. 그 중에는 여러모로 도움되는 정보도 많습니다. 이것이 선생님들과 친해져야 하는 이유입니다.어떻게 ... ...
[시사] 위대한 마법사 오즈 아무도 몰랐던 수학 이야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열기구를 타고 오즈에 도착했다. 과연 영화 속에서 오스카는 자신의 운명 앞에서 어떤
선택
을 했을까? 오스카의 흥미진진한 좌충우돌 오즈 적응기를 기대해 보자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5점 만점에서 3.84로, 수업을 하지 않은 학생들의 3.54보다 높게 나타났지. 이공계를
선택
한 것도 역시 3.42로 3.03보다 높았어. 둘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였어.왜 과학계에서 융합인재교육을 강조하냐고? 현재 이공계 대학생들은 한 가지 답만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해. 미래에 필요한 창의적인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이용해 26830가지라는 걸 알아 냈다.또한 수학자들은 먼저 게임을 시작한 사람이 ×를
선택
했을 때 ×와 ◦가 각각 이기는 경우의 수를 구해 보았다. 그랬더니 ×가 이기는 경우는 91가지, ◦가 이기는 경우는 44가지가 되었다. 즉, 먼저 게임을 시작한 사람이 이길 확률이 두 배 정도 높은 셈이다. 또 ... ...
부도리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곳에 사는 부도리와 주변 사람들이 가혹한 자연재해와 맞서 싸우며 겪는 고난과
선택
을 담담하게 표현했다. ‘부도리의 꿈’은 원작의 내용을 충실히 전달하되 등장인물을 고양이로 바꾸고 부도리가 꾸는 ‘꿈’을 환상적인 색채로 가미해 훨씬 보기 쉽게 만들었다. 산골의 아름다운 풍경과 이와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사각형도 있다. 바로 화살촉 모양의 사각형이 그 주인공이다. 사각형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
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1932년 에스터 클라인은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