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학자들은 동영상에서처럼 나그네쥐들이 줄지어 절벽에서 떨어져 내리는 ‘자살’을
선택
한다고 설명한다.하지만 이 주장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 그런데 마커스 드 사토이 교수는 나그네쥐의 주기적인 개체수 감소를 수학적으로 설명해서 주목을 받았다. 4 비행하는 동물은 기하학 예술가 ... ...
하우스는 정말 명의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훨씬 더 많기 때문에 ②번을 골라야 정답을 맞힐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스마트한
선택
들‘이란 책에 나온 예입니다).이처럼 기본비율을 폭넓게 생각하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저지르는 많은 오류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인기 1위인 영화가 보편적으로 가장 재미있다는 이야기입니다(하지만 ‘대세에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뒤, 그 의미를 기사로 풀어 쓴 점이 매우 돋보입니다. 다만, ‘자신에게 맞는 음료를
선택
해보자’고 했는데 밀도 차이로 자신에게 맞는 음료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아스파탐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더 조사해 썼다면 독자의 궁금증을 더 잘 풀어 줬을 것입니다. 글의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인접하지 않은 두 꼭짓점을 짝짓는다는 것은, 입체도형 전개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선택
하는 것과 같다. 정육면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수형도에서 꼭짓점 사이를 잇는 변은 정육면체 전개도에서 면이 붙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즉, 올바른 전개도가 되려면 가장 먼저 짝 수형도로 전개도를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참여하면 될지 자세히 안내합니다~!STEP 1 내 나무 찜하기!먼저 돌보고 싶은 나무를
선택
해요. 자주 만날 수 있는 집 앞 가로수가 가장 좋겠죠? 가로수가 없다면 가까운 공원이나 학교의 나무를찾아 봐요.STEP 2내 포부 밝히기!가로수 어답터 안내 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받아 정성껏 작성합니다. 가로수를 ... ...
3차원 - 단군은 혹등고래 타고 동해 건넜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인류는 지식과 정보를 어떻게 기록하고 전달할 수 있었을까. 사람들은 고민 끝에 바위를
선택
했다. 생활과 바람을 그림으로 새겨 표현한 암각화다. 최근 투명댐 설치 추진으로 관심을 모은 울산광역시 반구대 암각화도 그 중 하나다.국보 제258호로 지정된 이 암각화는 그림이 집중적으로 새겨진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한스-디어터 베츠라는 독일 과학자가 다우징 기술자 500명 중에서 가장 뛰어난 43명을
선택
해 지하에 묻어 놓은 파이프 중에서 물이 흐르는 파이프를 알아맞히는 실험을 했습니다. 결과는 우연히 찍었을 때와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집 아래에 수맥이 있으면 건강에 나쁘다는 것도 근거 없는 ... ...
새벽기차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못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우리처럼 땅에 발을 붙이고 살 수 없는 이 남자에게 달리 무슨
선택
의 여지가 남겠는가? 이 사람은 죽거나 기차에서 살거나 어느 한 쪽을 택해야 할 것이다. 어느 쪽도 즐겁게 고르지 못할 것이다. 그러면 어긋난 세상의 톱니 하나가 사라지거나 원래 있었어야 할 자리로 ... ...
안젤리나 졸리는 왜 유방제거수술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하지만 9주 뒤 성형수술을 받고 예전의 아름다운 가슴을 되찾고 나서는 “나는 확고한
선택
을 했고 내 여성성이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고 쓰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결단에 힘이 되어준 사실혼 관계인 배우 브래드 피트에 대한 고마움도 잊지 않았다.“나에게 브래드 피트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선택
했다. 반면 땅콩 개수 차이가 한두 개로 크지 않을 때는 55% 정도만 더 많은 양을
선택
했다.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원숭이가 물건을 하나씩 세는 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어림잡아 살펴보고 물체의 양을 비교한다고 추측했다. 제시카 캔들런 교수는 “이같은 원숭이의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