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개념으로 봤다. 아인슈타인은 스승의 수학적인 재해석을 전해 듣고 어처구니없다는
반응
을 보였다. 그러나 민코프스키의 새로운 해석은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다. 아인슈타인도 스승의 이론을 응용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전시킨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고,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수학의 실체를 잊어버리게 하는 효과가 있어 공리체계에 대한 일종의 거부
반응
을 스스로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수학이란 공리로부터 출발해서 확실한 진리를 창출하는 학문이라는 오해를 할까봐 걱정했던 것이다.최근에 어느 한국 고등학생에게서 이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학생의 질문은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도중에 난데없이 토론이 벌어지기까지 했지만 답은 의외로 $\frac{1}{2}$이었다. 허탈한
반응
이 나오자, 세머레디 교수는 그제야 출제의도를 밝혔다.“문제의 답을 찾는 것보다 사고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흔히 수학 난제를 풀기 위해서는 방대한 이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핵심은 가벼운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
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시키더군요. 그 실험을 다 하면 2년은 걸릴 것 같아 ‘너희에게 안 낸다’고 대답했죠.” 그 학술지는 논문을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얇은 옷을 입혀야 한다”고 권고했다.열이 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
반응
이다. 만성질환이나 선천성 장애가 없고 평소 건강한 아이에서는 직장체온이 39℃ 미만이라면 대개 치료가 필요 없다. 조금 더 큰 아이들은 38.3℃ 이하의 미열이면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고 기다려도 된다.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의견 사이로 “드디어 노벨상과 관련해 논란이라도 일으키는 인물이 나타나 반갑다”는
반응
도 있었다. 이제야 국제 무대에 등장할 만한 자타 공인의 실력파 학자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톰슨-로이터의 예측에서 한국인 또는 한국계 과학자 두 명이 노벨상 후보로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크래프트 포 올’이란 사이트를 만들어 ISEE-3호의 정보를 공개했다. 화려한 3D 그래픽과
반응
형 브라우저로 ISEE-3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7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친구를 이곳에서 직접 만나보자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관찰했다. 그 결과 코끼리는 마사이족이 입었던 고유의 옷 냄새를 맡았을 때 폭력적인
반응
을 보이거나 도망쳤다(오른쪽 위). 사냥하는 부족 농사짓는 부족, 냄새로 구별한다연구팀은 다양한 행동 실험을 통해 아프리카코끼리가 마사이족의 빨간옷과 고유의 사냥 자세를 구별할 줄 안다는 것을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보겠다’며 결의에 찬 표정을 짓더라고요. 대부분의 관람객이 전시를 보고 나서 비슷한
반응
을 보이기 때문에 별 생각 없이 듣고 흘렸어요. 그런데 한 2주쯤 지났을까요? 그 친구가 정말로 옷걸이로 안경을 만들어 갖고 왔더라고요. 전시를 기획한 직원들 모두 그날 무척 뿌듯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남의 얼굴 표정과 신체 자세에 작가가 지각적·정서적·감정이입 측면에서 어떻게
반응
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책은 빈 분리파의 인간의 시각과 감정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후반부에서는 창의성의 근원에 ‘무의식’이 있음을 지적한다. 실제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무의식이 큰 역할을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