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응"(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전하 결합 소자)라고 하는 디지털센서가 들어 있어요. CCD는 빛과 만나면 그 세기에 따라 반응하면서 전기신호를 만들어 내요. 전기신호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디지털신호로 바꾸어 이미지 파일로 만든답니다. 손잡이를 돌리면 충전 끝!빅샷 카메라는 2009년 미국의 컴퓨터과학자인 쉬리 나야르 ... ...
- 높이가 달라 더 짜릿한 원마운트 워터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하고 시원하지 않다고? 그렇지 않아. 과학적으로 무서울 때와 추울 때 우리 몸이 같게 반응하거든. 무서움을 느끼면 대뇌에 있는 편도핵이 대뇌피질과 청반, 시상하부에 신호를 보내. 대뇌피질은 전두엽을 자극해서 무섭다는 것을 알게 하고, 청반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지.시상하부는 뇌하수체로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방광암을 구별해 냈어. 재미있게도 6마리 개들이 방광암이 아닌 어떤 사람의 오줌에 반응을 보여서 검사를 해 봤대. 그 결과 오른쪽 신장에 종양이 있다는 걸 발견했지. 암 환자의 혈액이나 오줌에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개는 이 냄새를 맡을 수 있다는 군. 역시 개코는 대단한 것 같아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두 항체가 모두 들어 있고, AB형은 항체가 없지. 그래서 서로 다른 피가 만나면 항체가 반응해서 피가 굳었던 거야. 이제 왜 같은 혈액형끼리 수혈을 해야 하는지 잘 알았지?우리나라는 A형, 전 세계에는 O형이 가장 많다!인종이나 지리 분포에 따라 혈액형 비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전 세계 혈액형 ...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공포가 유전된 거야. 실제로 공포를 느낀 할아버지 쥐의 정자에서 벚꽃 냄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DNA를 확인하기도 했지. 우리의 공포는 어디서 유전된 걸까?조금씩 무서운 것과 마주하기행동치료는 공포증을 치료할 때뿐만 아니라 공포증까지는 아니지만 친구들이 무섭다고 느끼는 것에 대한 ... ...
- 우리 동네 축구감독 ‘메시가 혼난대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하면 0.4초면 골대에 공이 들어간다. 골키퍼가 공의 방향을 알아채는 데는 0.1초, 근육이 반응하는 시간이 0.1초, 골대 끝까지 몸을 던지는데 0.73초가 걸린다.결국 수학적으로는 막을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럼 어떻게? 연습이다~!”홈즈야~, 또 축구하자~!밤 11시, 썰렁홈즈는 혼난대두 감독의 등쌀로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자기장을 이용한 핵융합 장치(토카막, 스텔러레이터)를 주전자와 비교해 보자.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고온(약 1억K. 0K은 영하 약 273℃)의 플라스마가 자기장에 의해 가둬져 있듯, 주전자 안에는 물이 가둬져 있다. 이 때 가스레인지(외부 에너지 공급)를 이용해 물 온도를 100℃까지 올린 뒤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이 작용하는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고 핵융합은 쉽게 발생할 수 있다.핵융합을 하게 되면 반응 전과 후의 양성자와 중성자 수는 보존되지만 질량이 변한다(질량결손). 이 질량이 아인슈타인의 E=mc2 공식에 따라 질량결손 에너지가 되고, 핵융합 에너지가 된다. 비록 변하는 질량은 매우 작지만, 여기에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는 1세대 핵융합(중수소-삼중수소)보다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할 정도로 까다롭다. 이런 반응이 쉽게 일어난다는 주장에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회의적인 시선은 연구자들이 논문을 ‘네이처’에 투고하면서 정점을 쳤다. 심사자들은 실험 절차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고 보고 추가 설명을 ... ...
- [과학뉴스] 나이 들면 쇼핑도 힘들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판단할 때 노인의 뇌 중 복내측 전전두엽이라고 부르는 부분이 젊은이에 비해 선명하게 반응했다. 이 부분은 기억력과 관련이 있는 곳이다. 연구팀은 “판단능력에 문제가 없는 건강한 노인이라도 실제로는 젊은이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쓰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노인에게 쇼핑은 더 많은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