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d라이브러리
"
고정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열하고 녹이고 태운 뒤에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크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 예다. 얼음을 가열하면 구성입자(물분자)는 그대로지만
고정
된 위치에서 진동하는 폭이 커기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2. ④ 설탕이 물에 녹았을 때 용액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설탕이 녹아 눈에 안보이게 되니까 흔히 '설탕은 무게가 없다'고 생각한다.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길이는 더욱 길고 뚜렷이 찍힐 것인다.망원렌즈를 사용할 경우 90㎜이상은 노출문제로
고정
촬영이 불가능하고 가이드 촬영을 해야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오스틴을 촬영할 때 주의해야 할 일의 하나는 달과 함께 혜성의 구도를 잡지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달은 혜성에 비해 엄청나게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물론이고 열차 버스 등 대중 교통수단에까지 장착돼 있다.또 전화기의 종류도 차체
고정
형에서 숄더형, 다시 핸디형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다.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전화 외에도 선박용 전화, 열차용 공중전화, 항공기용 전화 등이 개발중인데 곧 어디에서나 전화통화가 가능한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CRT 화면에 재생해 본다일반적으로 광학현미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와 대안렌즈 등의
고정
배율에 따라 결정된다. 초점조정도 대물렌즈와 시료사이의 거리조정을 통해 한다. 또한 비율이 올라갈 수록 대물렌즈와 시료와의 거리가 수 ㎜ 이하로 줄어들고 관찰면적이 협소해진다. 아울러 초점심도가 ... ...
뚱보의 외과수술 지방흡인술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동안 체중을 줄이기 위한 갖가지 방법이 제시돼 왔다. 심한 경우는 상하턱의 이를 철사로
고정
, 묽은 음식만 먹게 하기도 했고 위장을 절제해내는 수술까지도 시도되었다. 과연 외과수술로 뚱보로부터 해방될 수 있을까.큰 우를 범할 수도소장(작은 창자)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의 90% 정도를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기술은 외과의사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작은 규소 겸자(鉗子, 기관 등을
고정
시키거나 압박하는데 사용되는 수술용구)와 고무관을 사용하면 현재의 기술이 한계를 드러냈던 부위, 곧 눈에 보이지 않는 혈관들을 다룰 수 있게 된다.또 광섬유관 보다 몇 배 더 섬세한 관이 피부조직 ... ...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평형상태에 빠지면 그 상태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게 된다. 또 어느상태에 들어가면
고정
된 길에 따라 다시 그 상태로 되돌아오는 주기상태도 생기게 된다.신경회로망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또 하나는 각각의 뉴론이 동작하는 타이밍의 문제다. 뉴론모델의 특성에 따라 △모든 뉴론이 같은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보아야 한다. 여기서 1차원적이라함은 어떠한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는 평면의
고정
된 화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장 기초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다. 2차원 애니메이션1984년 3월경, MBC가 미국 오로라사의 'AU-100'을 도입함으로써 본격적인 컴퓨터애니메이션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것은 ... ...
PART 1 로보틱스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위해서는 최소한 6자유도가 필요하다.그러나 매니퓰레이터는 항상 사람의 팔처럼
고정
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공장 자동화시스템에 맞도록 설계되는데 여기에는 직교좌표형 원통좌표형 극좌표형 다(多)관절형 등이 있다. 그중 조립 용접 등의 생산라인(line)에 가장 널리 쓰이는 ... ...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움직일 수 있다. 최근에는 칼라부분이나 어깨와 팔의 접합부분등을 꿰맬 수 있는 천장
고정
식 대형봉제로봇도 개발됐다. 이 로봇의 7개의 관절은 컴퓨터 통신망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 ■우주개발용 로봇우주에서는 로봇 팔이 현재 맹활약 중이다. 아래 사진은 STS-7(7번째 우주왕복비행)의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