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고갈과 환경오염, 기후 변화 등의 이유로 지구 멸망에 대한 우려를 늘 표하곤 했다. 그는 인간이 계속 생존하기 위해서는 지구를 넘어 다른 행성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그는 우주 탐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젊은이들이 우주과학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했다. 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만들어서 자기통제를 ‘자동화’ 시키기를 권장하는 학자들도 있다(Achtziger et al., 2008). 인간의 의지력이란 원래 약점이 많은 것이기 때문에 나는 왜 이렇게 의지력이 약할까 탓하지 말자. 그보다 지금 나의 환경에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들, 예컨대 목표 외에도 신경써야 할 일들이 많아 주의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이는 명백히 불공정한 제안이지만 그래도 2가 아쉽다면 파트너는 2를 받기로 할 것이다. 인간은 절대적인 이익뿐 아니라 ‘룰이 공정한가’에도 크게 집착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약 50-70% 정도의 사람이 이런 불공정한 제안을 거절한다고 한다. 이렇게 많이들 불공정한 제안을 거절하지만, 연구자들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머나먼 미래를 상상하며 계획을 세우는 뛰어난 능력의 한 가지 부작용으로, 우리 인간은 과한 질책과 불안을 떠안게 되었다. 실제로 생각에 잘 빠지고 하루에도 몇 번씩 마음이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비교적 불행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연구자들의 결론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이라는 논문을 쓴 네덜란드 위르겐대 신학및종교연구과 헨크 반 덴 벨트 교수는 “인조 인간이 현실화된다는 것을 상상하면 두렵지만 도전해 볼 문제”라며 “이 분야의 연구가 윤리 종교적 논쟁점이 있기때문에 토의를 통해 절충하면 부작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고통, 내 삶이 의미 없고 쓸모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한계가 많은 인간으로서 각자 정도는 달라도 우리 모두 나름의 짐을 지고 살아가는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자기 품 안의 짐만 바라보며 내가 제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고 나만 각종 고통을 당하고 좋은 일은 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의뢰로 암각화를 정리하는 작업을 해온 독일 막스플랑크 인간역사과학연구소의 고고학자 마리아 구아그닌 박사는 7000~8000년 전 유목민으로 바뀌기 이전의 암각화에서 유난히 개가 많이 등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즉 슈와이미스의 암각화 39점에 등장하는 개는 15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많은 매일의 경험을 평생토록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부정확한 기억, 실패한 망각은 인간에게 괴로움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 제임스 맥고 우리는 지난 30분, 어제 오후, 과거 10년, 또는 평생토록 우리에게 일어난 일을 대부분 돌이킬 수 없이 잊는다... 누군가 어린 시절 일 중 기억나는 걸 모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지속되면 건강과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주변 온도가 20~26도 사이일 때 인간의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구온난화로 이보다 기온이 높은 기간이 점점 길어지기 때문이다. 선진국이라고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2003년 서유럽에 40도가 넘는 폭염이 닥치면서 프랑스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자신의 약점이나 실수에 대해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는 비현실적인 시각 말고 인간으로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걸로 인생 끝이 아니라 여기에서도 충분히 배울 건 배우고 앞으로 나아가면 됨을 아는 것이다. 나의 약점이 종종 실수를 불러오듯 타인의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