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간"(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본인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으로 인지하고 서운함이나 두려움을 먼저 느낀다. 인간관계에서 전반적으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강한 편이기도 하다. 분리불안이 높은 부모들은 자녀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억압하거나 자녀가 자신을 대하는 태도를 심리적으로 통제하려는 양상을 보인다고 한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또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한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행복해지면 건강도 좋아지고 인간관계도 좋아지는 등 행복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글을 읽게 했고(행복의 중요성 강조), 또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행복 대신 정확한 판단력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읽게 했다. 그리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칭찬일수록 더 부담스러운 것과 같은 이치다. 누군가 칭찬을 할 때 지금 저 사람이 나의 인간 됨됨이를 평가하고 있다기보다 나의 이러저러한 행동을 기쁘게 받아줬다고 생각하면 된다는 것. 참고로 나의 ‘단점’이나 ‘잘못’에 대한 해석 또한 마찬가지다. 단점을 지적받았거나 스스로 깨달았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하는 인간의 의지, 그러니까 자기 자신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는 대단하다. 일례로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는 것과 내 삶이 잘못되어 가고 있다고 스스로 ‘인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한 사람이라고!’라고 생각하고 싶어서 눈 앞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생물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글을 쓴 것이다. 인간의 게놈을 보면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잘 소화할 수 있게 유전자가 마련돼 있다. 구석기인들, 즉 수렵채취인들은 거의 매일 수십 킬로미터를 걷거나 뛰는 게 일상이었다. 즉 우리 몸은 큰 뇌를 지닌 채 근육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것이다. 돈, 이동 수단(차), 사회적 지지, 건강한 몸, 용기와 자신감 등 독립적이고 건강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있게 만들어주는 요소들을 차단한다. 가족이나 친구들을 잘 만나지 못하게 하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고립시켜 도움을 받을 가능성을 차단시킨다 (Bonomi et al., 2006). 누가 너 따위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것에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일부 기여한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인간의 믿음은 동기(motivation)에 기반한다고 본다. 사실이어서 믿기도 하지만 그렇게 믿고 싶어서 믿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쉽지는 않은 일이지만, 믿고 싶은 것과 불편하지만 꼭 바라봐야할 현실을 구분할 수 있게 ...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호흡기 감염 막는 면역 작용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8
- 016년 벤자민 녹스 미국 위스콘신대 연구원팀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도 인간에 유해한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지목한 곰팡이는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투한다.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이 이 곰팡이에 감염되면 ...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개막식에 등장해 “우리는 모두 다르다, 표준적인 인류라는 것은 없지만, 모두 똑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킹 박사는 희귀병으로 얼굴 근육 일부만 움직일 수 있는 극단적인 장애를 겪었지만 그의 정신만은 세상 누구보다 자유로웠다. 2012 런던 패럴림픽 개막식에서 메시지를 ...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표준 같은 건 없다. 하지만 우리는 ‘뭐든 창조해낼 수 있다’는, 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며 “삶이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도 그곳엔 항상 당신이 할 수 있고, 해낼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