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첫 번째 적분 대회의 우승자는 화학공학과 학생이었던 알리 보르한이 차지했죠.1981년 이후 MIT는 한 해도 빠지지 않고 적분 대회를 열었습니다. 현재는 예선 시험을 통해 성적이 좋은 16명을 선발한 뒤, 정규리그를 통해 8명을 선발하고, 이 8명이 개인전을 펼쳐 최종 우승자를 뽑습니다. 정규리그와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발생했지만 야생 좀비를 길들이면서 좀비에 의한 사망자 수가 줄어들기 시작해 32일 이후에는 거의 없었습니다. 가끔 실수로 좀비에게 물리거나, 길들인 좀비가 통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야생 좀비도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죠. 연구팀은 우리가 좀비에게서 살아남는 최고의 방법은 ‘좀비를 길들여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3년 뉴로리긴 단백질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며 “이후 시냅스 접착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졌다”고 말했다. 최근까지 연구에 따르면 자폐증에는 시냅스에 있는 유전자 이외에도 훨씬 많은 유전자가 관련돼 있다. 고 교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자폐증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역은 동쪽에 위치한 태평양판이 일본열도 밑으로 수렴하는 경계와 맞닿아 있다.문제는 이후 백두산 지역에 주기적으로 화산지진이 관찰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창바이산화산관측소(Chang-baishan Volcano Observatory) 연구팀이 2012년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02~2006년 화산지진이 월 평균 72회 나타났다.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점을 한 번씩만 지나면서 원래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많은 수학자가 오일러의 연구를 발전시켜서 대상들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의 연결 관계로 분석하는 그래프 이론을 발전시켰다. 현재는 순수수학뿐 아니라 반도체 회로 설계와 물류 등 다양한 산업 ... ...
- [과학뉴스] 태양계 탐사할 수중 로버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NASA)는 2025년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 우주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에요. 이후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도 탐험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요. 그래서 NASA는 남극 호주 케이시 연구기지 인근 바다에 수중 로버 ‘브루이(BRUIE)’를 실험 중이에요. 왜 바다에서 실험하냐고요? 유로파와 엔셀라두스는 10~19km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그 중, 한천은 90℃ 이상의 고온이 되면 서로를 엮고 있는 나선이 풀리고 분말이 녹지요. 이후, 실온에서 냉각하면 한천은 수분을 머금으며 탄력을 갖는 3차원 구조의 젤로 바뀌어요. 원하는 모양의 틀에 용액을 넣어주고 식히면 나만의 개성있는 물방울 젤리를 완성할 수 있답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위에 삼각형을 그린 뒤 세 내각의 합을 측정하면 180°보다 크죠. 이와 같은 발견이 이뤄진 이후 기하학은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非)유클리드 기하학’으로 나뉘었답니다. 본격 메이킹 비법 | 밴드 블록으로 입체 모형 만들기 미션1. 모형을 그리고, 쪼개라?! 본격적으로 밴드 블록을 ... ...
- [가상인터뷰] 쥐사슴, 그동안 어디 있었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연구팀은 2018년 4월, 3대의 트랩 카메라를 나무에 설치해 쥐사슴 사진 275장을 찍었어. 이후 집중 조사를 위해 7월까지 같은 장소에 카메라 29대를 추가로 설치했고, 1881장의 사진을 더 얻을 수 있었지.세계야생생물보존협회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쥐사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어.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빛을 흡수하는 색소를 만들어야 했어요. 이것이 초록빛을 흡수하지 않는 엽록소예요. 이후 지구의 환경이 바뀌어 보라색 고세균이 줄어들면서 초록색 엽록소를 가진 생물들이 전 지구로 퍼지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물론 보라색 지구 가설은 증거가 없어서 아직은 추측에 머무르고 있어요. 하지만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