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번 더 훈련하고, 7월에 알래스카 연안 북극 바다로 나갈 거야. Q 대단해! 어떻게 기름을 발견하는 거야?A 내 안에는 기름이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있어. 이 센서로 기름이 있는 부분을 찾아다니며 기름이 유출된 지도를 만들 수 있지. 실제로 지난 2018년 9월, 연구팀은 내가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름을 외계행성과 함께 홈페이지에 발표하고 있지요. 특히 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외계행성을 분석해서 논문을 작성할 때는 가장 큰 기여를 한 시민천문학자의 이름을 연구자 명단에 넣기도 한답니다. 천문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아도 천문학자의 연구에 기여하고, 논문에 이름을 올릴 수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전자현미경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세상에 알렸다.이후 지금까지 인간이 발견한 바이러스는 6000여 종에 이른다. 이들 바이러스는 몇 가지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대부분 단백질 껍질이 유전물질을 감싼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단백질 껍질의 형태나 성분 또는 유전물질의 특성에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현상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박쥐의 종류와 숫자가 놀랄 만큼 많기 때문이다.지금까지 발견된 박쥐는 1000여 종에 이른다. 이는 전체 포유류 종의 약 20%에 해당한다. 박쥐가 특별한 숙주라기보다는 전체 포유류 중 박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그만큼 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보여주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바레시누시는 2015년 CNN과의 인터뷰에서 “HIV를 발견할 당시 순진했던 우리는 바이러스와 신체의 상호작용이 이처럼 복잡하다는 걸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제와 백신이 금방 개발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과학은 놀라운 발전을 이뤘지만, 오늘날 HIV를 완전히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면역학에 대한 고정관념이 없었기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탐사를 도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연구 주제는 마호니스 토들렛의 생태와 분포였습니다. 발견된 지 3년이 채 안 된 신종이라 언제 짝짓기를 하고, 어디에 알을 낳으며, 구애 소리는 어떻고, 어디에 분포하는지 제대로 알려진 게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마호니스 토들렛이 좋아하는 식물 등을 토대로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오직 연착륙 모형뿐이었어요. 프랭크 교수는 “이 연구 결과가 외계 문명의 증거를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를 푸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니를 중심으로 서아프리카에서 대규모 유행이 발생했고, 이는 에볼라바이러스의 첫 발견 이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에볼라 유행이었다. 당시 에볼라바이러스는 치사율이 70%가 넘는 자이르에볼라바이러스의 변종으로 밝혀졌다.세계보건기구(WHO)는 2014년 8월 8일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 결과가 실리며 이를 반박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인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