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렇게 수학으로 알아보고 나니 직접 보지 못했더라도 어딘가 외계인이 꼭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제가 요즘 외계인에 관한 영상을 올리다 보니 외계인을 찾는 단체에 ... 2019년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홀로 떠돌아 다니는 외계행성 후보 ‘OGLE-2017-BLG-0560’을 발견했답니다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OC43, HKU1, SARS-CoV, MERS-CoV)만 존재하며, 총 6종류였다. 그런데 최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발견되면서 한 종이 추가돼 7종으로 늘었다.이 중 229E, NL63, OC43, HKU1는 가벼운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사망률도 낮다. 반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중증 폐렴을 일으키는 동시에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어떤 모습일까. 혹시나 화성에서 한 움큼 가져온 토양에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의 기원 이론이 통째로 바뀔지도 모른다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스파레 아셀리라는 또 다른 이탈리아 과학자가 개의 위장을 해부하다가 우윳빛 혈관을 발견했다. 지금은 림프구 등 백혈구의 존재가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혈관은 붉은색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 ...
- Chapter 05. 노벨상┃과학동아 l2020년 07호
- 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 면역세포 탐구한 수상자들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결과 황 표지는 상층액에서, 인 표지는 박테리아 세포가 포함된 침전물에서 각각 발견됐다. 단백질은 박테리아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충에 가시를 찔러 넣으면 특정 세포들이 가시 주위에 몰려든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유충의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자인 가시를 공격하는 과정이었다. 메치니코프는 이 현상을 관찰하고 일기에 ‘나는 갑자기 병리학자가 됐다’고 적었다. 그는 물벼룩과 토끼, 개구리에서도 같은 현상을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도움으로 가능했다”며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지만 H2항원 유전자를 함께 발견한 피터 고어 박사 덕분에 연구의 원동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WHO) 는 천연두의 완전 퇴치를 선언했다. 천연두는 기원전 약 3세기 미라에서도 발견됐으며, 20세기에만 3억 명의 목숨을 앗아간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병이다. 그러나 1977년 소말리아의 마지막 환자 이후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천연두바이러스는 현재 연구 목적으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똥 싸는 모습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화석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배설물(화살표)과 배설물의 주인이 함께 담긴 화석을 발견하는 건 매우 드문 일이에요. 연구팀은 배설물에서 꽃가루뿐 아니라 오늘날 바퀴벌레 내장에 있는 미생물과 매우 유사한 원생동물과 박테리아를 찾았어요. 이를 통해 곤충과 내장 미생물의 공생이 최소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