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돌이행성 처음으로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항성보다 2배나 많았다. 우리은하 전체로 보면 수천억 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일본, 뉴질랜드 연구팀과 공동으로 태양계 밖에서 궤도를 잃고 떠도는 행성 무리를 발견했다. 그동안 많은 천문학자들이 이 떠돌이행성의 존재를 주장해왔지만 직접 확인한 것은 이번이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기자가 평소 궁금했던 연구 내용을 하나씩 물어볼 때 마다 차석원 서울대 기계
항공
공학부 교수는 이 말로 대답을 시작했다. 그에게 모든 연구는 ‘재미’로 다가오는 것 같았다. 지금 그가 푹 빠져 있는 주제는 바로 연료전지.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 한 차세대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있다.스마트폰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정도는 매우 중요하므로, 실제로 가로·세로 비의 값이 작은 날개를 사용한다. 고속
항공
기의 경우 가로·세로 비의 값이 3.0~3.5로 작은 것도 있다.스픽스마코앵무마코앵무(금강앵무)는 남북아메리카대륙의 고유 앵무새로 부리와 몸집이 크고 화려하다. 그래서 사람들이 마구 잡아 그 수가 감소해 ... ...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방사능 오염에 울었다원전 냉각수만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핵추진
항공
모함이나 잠수함, 그리고 해군 기지에서 고체와 액체 방사성 폐기물을 바다로 버린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무관하지 않다. 1990년대 중반까지 러시아가 동해에 핵폐기물을 버린 일이 있다. 1997년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위성이나 파편은 우주 쓰레기로 남는다. 미국 콜로라도 주 콜로라도스프링스에 있는 북미
항공
방위사령부(NORAD)에 따르면 크기 10cm 이상의 물체 1만 6000여 개가 지구 주위를 돌아다니고 있다. 그 중에서 78%는 아무런 쓸모가 없는 우주쓰레기다.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이 우주로 나간지도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오염 정도를 관측한다.“인공위성으로 에어로졸 분포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얻는다면
항공
기로 에어로졸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라이다는 한 지점에서 고도별 에어로졸의 분포를 알 수 있죠. 그리고 차량은 지표면의 에어로졸을 측정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이 모든 자료를 통합 분석해 한반도의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광학 등을 기초로 이뤄졌으며, 토목 및 건축공학은 역학을 기초로 한다. 기계·
항공
공학은 역학과 열역학, 유체역학 등을 기초로 한다. 재료공학 분야도 고체물리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 외에 교통공학과 같은 도시공학 분야도 물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대학의 학과 규모에서도 볼 수 있듯이 ... ...
우주의 아름다운 블랙홀 반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미국
항공
우주국은 최근 지구로부터 4억 2000만 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충돌은 하 주변에서 블랙홀들이 둥근 반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광경을 포착했어요.사진은 찬드라X선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수집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가 재현한 이미지랍니다. 타원은하(옅은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진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통해 과학의 세계를 탐험하는 활동에 직접 참가하고 넓은 세상을 맘껏 경험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하버드대, 예일대를 방문해 세계의 학문을 이끄는 중심에 서봤다.다가올 미래에 경쟁하고 협력할 외국의 영재들이 공부하는 현장을 둘러보며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는시간이기도 했다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 이내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확률은 여름인 6월 이후로는 늘어난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지상관측위성이 촬영한 일본과 태평양 상공의 강우도. 주로 동쪽 태평양으로 향하고 있다. 작은 화살표는 1.5km상공의 풍향을 나타낸다. 대부분 서풍과 북서풍이 분다. 맨 위부터 3월 13일, 1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