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하면 역학에 대한 튼튼한 기초가 있기 때문에 진출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기계
항공
, 우주 개발, 레이저 응용, 의학 연구 분야에 진출한다. 일반 기업의 연구소에 가거나 국방과학연구소를 비롯한 국방 관련 정부 연구소에 취업할 수도 있다 ... ...
“끈끈한 동기애로 큰 목표 이룬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구체화됐다. 김지열 학생은 공군사관학교 진학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김다혜 학생은
항공
부사관으로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겠다는 다짐을 했다. “진로가 정해져 있지만, 막상 들어와서 배우다 보면 더 큰 목표가 나타나요.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뛰어든다면 공군과 우리 학교를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육각형의 콘크리트다. 기지 내부를 지구와 비슷한 중력환경으로 만드는 것도 현재 미국
항공
우주국과 함께 검토하고 있다. ➊ 2101년에 생길 우주정착시설로, 스스로 돌며 인공중력을 만들어 낸다.➋ 온도와 습도를 맞춘 투명한 원형 비닐하우스 안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모습.➌ 모래폭풍에 덮여버린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튕겨 나온 물체가 건물에 더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외에도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드라이아이스와 진공관을 이용해 인공토네이도를 만들었다.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 1900년대 초, 스페인 과학자들은 태양에너지와 바람에너지를 동시에 잡는 ‘태양굴뚝’을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연구 결과가 나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박테리아 GFAJ-1.]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한 ‘외계생명체 연구에 영향을 끼칠 우주 생물학적 발견’이 여전히 논란을 낳고 있다.당시 NASA우주생물학연구소의 펠리사 울프-사이먼 박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모노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항공
분야에는 조종사 외에도 다양한 직업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항공
기를 만드는 직업도 재미있고 멋지다는 것을요. 만약 전시가 된다면 학생들이 비행기 날개 구조를 상세히 볼 수 있게 천을 뜯어서 전시할 수도 있습니다. 힘들게 만들었지만 아깝지 않아요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아리랑5호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아리랑5호가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전자파 환경실험실에서 위성 시험 마지막 단계인 종단 시험을 하고 있다. 이 시험은 지상기지국과 위성이 정상적으로 교신하는지 점검한다. 영상레이더에서 강한 전파가 나와 인체에 유해하다. ... ...
“공학의 꿈 키우며 정 나누는 공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또 다른 새로운 분야의 매력에 빠졌다. “공학의 재미를 몸소 체험했어요. 앞으로 기계
항공
공학부에 진학하겠다고 마음 먹었죠. 열심히 공부해서 나중에 의공학을 연구하고 싶어요. 어렸을 때 친누나를 백혈병으로 떠나보낸 뒤, 부모님을 따라서 백혈병 어린이들을 돕는 자원봉사를 다니고 있어요.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우주왕복선의 잔해가 대서양 위로 흩어졌다. 이 사건은 엄청난 충격을 던졌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안전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됐다. 이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본 것은 아마도 허블우주망원경이 아닐까.허블망원경은 우주비행사들이 직접 우주로 날아가 수리하고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 7년에 걸친 관측 끝에 완성한 우주배경복사지도. 온도에 따라 색을 달리했다. 배경복사가 이렇게 균등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암흑물질의 존재가 꼽히고 있다.]1960년대 후반, 미국 카네기연구소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먼 거리에 있는 나선 은하를 관찰했다. 그녀는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