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충전되는 방식을 쓸 전망입니다. 드론이나 전기비행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쯤 되면
조금
더 발칙한 상상을 해봅시다. 길거리에 깔린 무수히 많은 전선과 거대한 철탑인 송전탑도 사라질 수 있을까요?초고전압 송전탑에서 전송하는 수만 W가 넘는 전력을 무선으로 보내는 건 지금으로서는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1980년대 이전 수준으로 햇빛의 양이 많아지지는 않았지만,
조금
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기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이번에는 햇빛의 양이 늘어나면서 기온이 올라가 오히려 지구온난화를 더욱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죽음의 비행기구름’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든답니다.국립수목원에는 겨울에도 많은 손님이 찾아와요. 이 가운데는 잎들이 떨어져
조금
황량해 보이는 나무 사이로 움직이며 활기를 불어 넣어 주는 친구들도 있답니다. 바로 새들이지요.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겨울은 새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무성한 나뭇잎이 없어서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길을 걷다가 밤처럼 생긴 열매를 발견했어요. 그런데 껍질이
조금
이상해서 엄마께 여쭤 보니 밤이 아니라고 하셨어요. 밤이랑 정말 똑같이 생긴 이 열매의 정체는 뭐죠? 박은비(홈스쿨링 3) [밤]9~10월 가을이 되면 산길에 떨어져 있는 밤을 쉽게 볼 수 있어요. 전세계 밤 생산량의 약 7%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있어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지요. 그 결과 달이 지구로부터
조금
씩 멀어지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저기가 출구 같아!”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거울미로 안에서 한데 모여 빛의 성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미로를 차분히 빠져나올 수 있었어요. 미로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하나의 커다란 대륙이었다는 ‘대륙 이동설’을 발표했지요.이후 과학자들의 인식은
조금
씩 바뀌었어요. 지금은 대륙 이동설이 발전해 지구의 땅이 ‘판’이라고 불리는 10여 개의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는 ‘판 구조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주요 판으로는 아프리카판, 남극판,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말을 한다’는 뜻이 된답니다. 지구를 구성하는 땅은 한자리에 가만히 있지 않고
조금
씩 움직이고 있어요. 이렇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땅은 옆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지층이 끊어지기도 하지요. 이걸 ‘단층’이라고 해요.‘끊을 단(斷)’은 실로 이어져 있다는 뜻을 가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지진이 나면 많이 흔들릴 수 있어요. 진자를 흔드는 모습을 생각해 보세요. 줄 끝을
조금
만 흔들어도 줄 끝의 추는 먼 거리를 오가지요. 같은 원리로 건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진동이 크게 일어날 수 있어요.또 건물이 원래 갖고 있는 *고유진동수와 지진파의 주기가 일치할 경우, 진동수가 두 배 ... ...
Part 3. 근육을 내 맘대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군대나 산업용으로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지요.척수 마비 재활을 위해 쓰이는 로봇은
조금
더 복잡해요. 척수는 몸의 모든 신경 자극이 지나가는 중심 기둥이에요. 척수 마비 환자는 이 기둥이 제 역할을 못하는 상태지요. 쉽게 말해서 뇌와 몸을 잇는 가장 큰 길이 끊어져 신경 신호가 쉽사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마음껏 감상할 수 있게 되었지요. 베르누이 원리를 품은 사다리꼴 길 고택 입구를
조금
걸어 올라가면 당시 남자들이 기거했던 큰 사랑채가 나와요. 그리고 사랑채 뒤에는 여성들의 공간이었단 안채가 위치하고 있지요. 안채는 대청마루에서도 대문 밖을 쉬이 살필 수 있는 ‘ㄷ자 구조’로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