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라고 불렀지요. 만일 H가 꼭짓점 s개짜리 완전그래프라면 r(H)는 R(s,s)와 똑같아지니까 조금 더 일반적인 문제가 되지요.이중범 박사, 40년 묵은 난제 해결버어와 에르되시는 혹시 그래프 H에 선이 많이 없다면 r(H)가 보통의 램지 수보다는 훨씬 작은 수가 되지 않을까 추측했습니다. 이게 바로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양자효과가 비국소적이라는 사실에 착안한 모형이다. 비국소적이란 용어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의미로 쓰는데, 여기서는 과거에 대한 기억 효과를 뜻한다. 물리이론은 기본적으로 입자 간의 상호작용이 시공간상의 한 점에서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이를 국소적이라고 하며, 미분으로 표현한다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든답니다.국립수목원에는 겨울에도 많은 손님이 찾아와요. 이 가운데는 잎들이 떨어져 조금 황량해 보이는 나무 사이로 움직이며 활기를 불어 넣어 주는 친구들도 있답니다. 바로 새들이지요.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겨울은 새 관찰하기 가장 좋은 계절이에요. 무성한 나뭇잎이 없어서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길을 걷다가 밤처럼 생긴 열매를 발견했어요. 그런데 껍질이 조금 이상해서 엄마께 여쭤 보니 밤이 아니라고 하셨어요. 밤이랑 정말 똑같이 생긴 이 열매의 정체는 뭐죠? 박은비(홈스쿨링 3) [밤]9~10월 가을이 되면 산길에 떨어져 있는 밤을 쉽게 볼 수 있어요. 전세계 밤 생산량의 약 7%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반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어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지요. 그 결과 달이 지구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저기가 출구 같아!”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거울미로 안에서 한데 모여 빛의 성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미로를 차분히 빠져나올 수 있었어요. 미로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하나의 커다란 대륙이었다는 ‘대륙 이동설’을 발표했지요.이후 과학자들의 인식은 조금씩 바뀌었어요. 지금은 대륙 이동설이 발전해 지구의 땅이 ‘판’이라고 불리는 10여 개의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는 ‘판 구조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주요 판으로는 아프리카판, 남극판,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말을 한다’는 뜻이 된답니다. 지구를 구성하는 땅은 한자리에 가만히 있지 않고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이렇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땅은 옆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지층이 끊어지기도 하지요. 이걸 ‘단층’이라고 해요.‘끊을 단(斷)’은 실로 이어져 있다는 뜻을 가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지진이 나면 많이 흔들릴 수 있어요. 진자를 흔드는 모습을 생각해 보세요. 줄 끝을 조금만 흔들어도 줄 끝의 추는 먼 거리를 오가지요. 같은 원리로 건물의 층수가 높아질수록 진동이 크게 일어날 수 있어요.또 건물이 원래 갖고 있는 *고유진동수와 지진파의 주기가 일치할 경우, 진동수가 두 배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Q3 규모와 진도는 어떻게 다른가요?경주 지진은 규모 5.8이었지만 진도는 장소에 따라 조금씩 달라요. 왜냐하면 규모는 지진의 실제 크기인 반면, 진도는 지상에서 인간이 느끼는 정도를 말하거든요. 보통 규모 5.8의 지진은 ‘많은 사람이 지진을 느끼고 뛰어 나오는 정도’인 진도 6~7에 해당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마음껏 감상할 수 있게 되었지요. 베르누이 원리를 품은 사다리꼴 길 고택 입구를 조금 걸어 올라가면 당시 남자들이 기거했던 큰 사랑채가 나와요. 그리고 사랑채 뒤에는 여성들의 공간이었단 안채가 위치하고 있지요. 안채는 대청마루에서도 대문 밖을 쉬이 살필 수 있는 ‘ㄷ자 구조’로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