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몸과 꼬리 사이가 쑥 들어가 있어요. 또 입을 다물고있을 때 입이 위로 향하고 아래턱이 조금 더 튀어나온 것이 특징이랍니다.저는 잡식성이라 작은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등 다양한 먹이를 먹고 살지요.정말 오염된 물에서도 살 수 있어?네~! 저는 보통 물고기가 사는 환경보다 오염 물질농도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수’라고 불렀지요. 만일 H가 꼭짓점 s개짜리 완전그래프라면 r(H)는 R(s,s)와 똑같아지니까 조금 더 일반적인 문제가 되지요.이중범 박사, 40년 묵은 난제 해결버어와 에르되시는 혹시 그래프 H에 선이 많이 없다면 r(H)가 보통의 램지 수보다는 훨씬 작은 수가 되지 않을까 추측했습니다. 이게 바로 ...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높이자 영하 16℃에서 두번째 분자 층이 준 액체로 변했다. 온도가 높아지면 얼음표면이 조금씩 지속적으로 녹을 것이라는 기존 추측과 달리, 특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한층씩 녹아내리는 방식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미샤 본 교수는 “영하의 얼음 표면에서 나타나는 이준 액체의 성질이 일반적인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학적 명제가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부터 참과 거짓 두 개로 나뉘어 있던 세계는 조금씩 무너져갔다.불완전성 정리는 ‘양상 논리(Modal Logic)’로까지 확장되는데, 이는 명제를 필연성, 가능성, 불가능성으로 나눈 논리 체계다. 예를 들어 ‘나는 곧 집에 갈 것이다’라는 명제가 있다면 나는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밑 지표는 어떤 모양이고 어떤 물질로 돼 있을까. 태고의 비밀은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우리나라(K-IODP)와 26개국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International Ocean Discovery Program)시추연구선에 탑승한 지구과학자의 탐사일지를 지금 공개한다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물질들은 고요히 떠다닐 수 있답니다. 그리고 이런 물질들은차츰 바다 아래로 가라앉아 조금씩 쌓이게 되죠.그 결과, 해저지각엔 다양한 물질들이 시대 순으로 차곡차곡 쌓이게 돼요. 여기엔 당시 지구환경에 대한 정보가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에 해저지각은 지구의 역사가 기록된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역에서 발견된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발자국과 매우 비슷했어요. 하지만 발자국과는 조금 달랐지요. 자세히 살펴본 결과, 날카로운 발톱으로 바닥을 긁어서 만들어진 구덩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그렇다면 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왜 땅을 긁었을까요? 첫 번째 가설은 알을 보관하는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훈련”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원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드는 무게를 조금씩 늘려서 근육을 키우듯이, 우주선 게임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어서 뇌 강화학습을 통해 뇌가 긍정적인 뇌파 패턴을 유지하도록 만든다”고 덧붙였다. 게임 중간에 보석이 갑자기 튀어나오게 하는 것도 주의력을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끝난 거다?”끝까지 빙글빙글 웃는 얼굴이더라고요. 재수 없어. 저는 고함을 지르다가 조금 울었습니다. 기준 오빠가 장갑 낀 손을 뻗어 제 손을 잡아주었어요.이제 격렬했던 흔들림은 다 끝났습니다. 선내에서 4년 동안 둥둥 떠다닐 일만 남았습니다. 그나마 8년에서 10년이었는데 줄어든 거라네요.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구의 공전도 정확하지 않았어요. 밀물과 썰물, 지진 등의 힘으로 지구의 공전 속도가 조금씩 느려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됐거든요.결국 거의 변화가 없는 세슘 원자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세슘 원자시계가 시간의 기준이 됐답니다. 세슘 원자시계와 같은 원리로 수소나 루비듐 등 다양한 물질로도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