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
하는 장치장기간 동안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저장
장치슈퍼컴퓨터 내부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장치는 지하의 항온항습 장치와 연결돼 있다슈퍼컴퓨터는 크게 세종류다 고성능 벡터 프로세서를 기반한 벡터형(PVP), 공유 메모리를 가진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 부분은 우리 인체가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방을
저장
하는 곳이다. 따라서 웬만한 운동이나 다이어트로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이런 부분의 살을 쉽게 뺄 수 있는 방법으로 지방흡입술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지방흡입술은 흡입관을 통해 원하는 부위의 피하 ... ...
수소
저장
55% 높이는 기술 첫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말했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MOF-177의 표면적은 그램 당 3천m2로 기존의 2천m2보다 수소
저장
능력이 55%가량 높아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다.채 교수는 “현재 미국 대기업에서 이 기술을 이용해 휴대전화용 수소 배터리를 개발중”이라고 덧붙였다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자극되면 세포내에서 작은 주머니에
저장
된 신경전달물질이 신경말단에서 분리되고 이것이 다음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전달물질은 현재 40여종이 발견됐다 신경차단술의 일종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인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가 사라질 유비쿼터스 시대에 필요한 개인
저장
장치인 셈이다.MIT 미디어랩의 경우 미래형 인터페이스를 연구중이다. 집안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로 사람들의 위치를 추적하고 시선을 인식해 적당한 위치에 정보를 투영하는 기술이다. 앞으로 집안의 모든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흘러갈지도 모르겠다. 누가 굴드의 역할을 대신해줄 것인가? 나는 쓸쓸히 내 컴퓨터 속에
저장
돼 있는 굴드의 파일을 열었다.그리고 다음과 같이 썼다.‘암세포도 그의 열정과 재능을 가로막지 못했으니, 굴드, 멋진 인생을 살다 그토록 흠모하던 디마지오 곁으로 가다.’근대적 종합1900년대 초반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활용하는 목적을 전자 공간이 아닌 물리공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정보는 많이
저장
하고 있지만 인간의 명령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는 가상 공간의 한계를 물리적 공간에 촘촘히 박혀있는 작은 컴퓨터와 센서로 극복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유비쿼터스 시대는 정보화의 최종 단계에서 시작된다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사람들과 명함을 주고받는 대신 자신의 디지털 명함에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
한다. 일과가 끝나고 나서 명함을 검색하여 오늘 누구를 만나 무슨 일을 했는지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이런 일을 하는데 더이상 육중한 컴퓨터는 필요없다.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 있게 된다. 위험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다. 사전에
저장
된 신상정보에 따라 매일 같은 시간에 획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시시각각 바뀌는 상황에 따른 맞춤형 복지를 실현한 형태다.이 같은 이유로 유비쿼터스 공공서비스는 서민들의 든든한 ... ...
양식연어 발암물질 함유 논란 일어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권고했다.그러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연어의 껍질을 벗기고 불에 익히면 지방층에
저장
돼 있던 오염물질이 상당량 없어진다며 우려할 일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영국 식품규격청(FSA)도 이번 연구 역시 양식연어에 함유된 발암물질의 양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허용기준치 이내임을 입증하고 있다며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