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건파일 1 공룡뼈의 정체를 밝혀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CT)로
뇌
공간의 부피를 쉽게 구하지. 일반적으로 몸 전체의 부피와 비교해서
뇌
의 부피가 크다면 똑똑하다고 알려져 있어.공사현장에서 발견된 뼈의 정체는 조반류의 공룡 에드몬토사우루스로 밝혀졌어. 오리주둥이를 가진 공룡 중 가장 큰 녀석이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화석이 발견된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장면과 악기 연주 장면에는 확실히
뇌
의 반응 부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
가 듣지 않고도 동물의 울음소리와 음악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를 구분하고 있다는 뜻이다.다마지오 교수는 “청각피질은 오직 소리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로 개인적인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머리카락 같은 돌기를 이용해 주변의 소리(진동)를 감지한 뒤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
뇌
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청각세포는 여러 가지 감각세포 가운데 유일하게 줄기세포로는 만들지 못해왔다.신 박사팀은 쥐의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외배엽 세포로 만들었다.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축’과 늘어나는 ‘이완’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근육을 이루고 있는 근섬유들은
뇌
에서 오는 전기 자극을 재빠르게 읽어 스스로 근섬유를 줄였다 늘렸다 하며 근육을 움직인다.한양대학교 김선정 교수팀은 이런 근섬유를 본떠 탄소나노튜브에 DNA를 감은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 이 인공 근육은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않는다.❹ 핫초코, 콜라, 녹차, 홍차 같이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시지 않는다. 카페인은
뇌
와 같은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잠들지 못하게 한다.❺ 저녁에 과식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잠자리에 들기 전에 우유나 바나나처럼 ‘트립토판’이 든 음식을 먹는 건 좋다. 트립토판은 몸 속에서 세로토닌이 ... ...
다면체로 즐기는 월드컵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구조는 정오각형과 정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깎은 정이십면체 구조와 같다. 사람의
뇌
에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가 있다. 뉴런의 수상돌기 끝에는 클라스린이란 물질이 있는데 이 구조 역시 축구공의 구조와 닮았다. 우리 주변에 축구공 모양의 다면체가 있는지 찾아보자. 상상도 하지 못한 곳에서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쓰러졌었다. 뭉쳐진 피(혈전)가
뇌
혈관을 막아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은 탓에
뇌
조직이 손상된 것이다. 그는 항 응고작용으로 혈전이 생기지 않게 방지하는 약물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전혀 반대의 문제가 생겼다. 와파린을 복용한 뒤 혈전이 생길 위험은 적어졌지만, 오히려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흥미로운 점은 이들 발명품이 완벽히 새로운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뇌
전도 트위터 입력장치는 9가지 발명 방식 가운데 차용하기, 자이퍼니는 재료바꾸기를 이용해 성공적이고 혁신적인 발명품으로 거듭난 사례다.전자현미경에서 P2P서비스까지학생 발명이 세상을 바꾼 사례는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움직이거나 몸을 움직이려면 관련된
뇌
영역이 서로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하지요.
뇌
신경 사이의 연결은 4세부터 집중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해 7세에 이르면 폭발적으로 늘어나요. 음치, 몸치는 대부분 이 시기에 충분한 음악적, 신체적 자극을 겪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답니다. 하지만 연습으로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기생해서 사는 ‘창형흡충’은 최종 숙주의 몸에 들어가기 위해 중간 숙주인 개미의
뇌
에 침투해 최종 숙주에게 먹히도록 신경을 조종한다. 비슷한 예로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는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는다. 포자충이 고양이로 들어가려고 쥐를 조종하기 때문이다.그 밖에 스타크2에는 변신수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