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역"(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보존하려고 해요.Q앞으로의 계획을 알려 주세요.올해는 중국 훈춘 지역과 후앙니허 지역에 카메라를 더 촘촘하게 설치해 호랑이의 모습을 관찰하려고 해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 정부에 호랑이 생태 통로의 필요성을 제안할 계획이랍니다.#한국 호랑이를 알리기 위해 4월 25일까지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통신위성을 쏘아 올린 것에 대해 곽 랩장은 “중국처럼 땅이 넓어 광통신망이 없는 지역에서 쓰거나 미래에 전 지구적인 양자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자통신위성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올해 4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5년 양자기술과 관련한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온도, 습도, 풍향과 풍속, 대기안정도 등의 정보를 입력한 결과, 폭발하면 반경 107m 지역이 가장 위험했다. 반경 499m까지는 통제구역에 속했다.자일렌이 해상에서 확산되는 정도도 예측했다. 최종욱 국민안전처 기동방제과 주무관은 “자일렌은 상온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해상에서의 거동도 예측해야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빨아들인다. 아주 조금만 비가 내려도 아타카마 사막은, 특히 사막 중심부를 둘러싼 지역에서는 생명이 약동한다.”(41쪽) 여기, 한 수영선수의 고백도 있다. “파도가 치고 기상 상태가 나빠지고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훈련할 때건 실전할 때건 생각하려고 노력해요. 나는 파도가 치는 걸 조절할 수 ... ...
- [쇼킹 사이언스] 호수 한가운데 신비한 구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나 ‘라고아 콤프리다’ 댐으로 흘러 들어간답니다.이런 모양의 배수구는 다른 지역에도 있어요. 미국 몬타나주의 헝그리 홀스댐이나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의 지히댐 등에도 코방 도 콘쇼스와 비슷한 배수구가 있지요. 이런 모양의 배수구를 ‘벨 마우스 배수구’ 혹은 ’나팔꽃 배수구(글로리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접근해서 촬영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했다. 특히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목성의 남북극 지역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성의 적도 부근에 대해서는 망원경 관측을 통해서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극지방의 대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연구팀은 극지방의 대기 운동이 매우 ...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전리층에서 교란이 생긴다. 쓰나미가 만든 파도의 마루와 골이 대기를 압축 - 이완시키면서 대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내부중력파라고도 부르는데, 대기가 옅어지는 상층부로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들이 흙을 먹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임산부 17명, 임신하지 않은 여성 8명, 남성 10명, 지역의 보건전문가 15명 등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흔히 알려진 것처럼 임산부는 임신 기간 동안 다양한 흙을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런데 토식증이 꼭 임산부에만 국한되는 건 아니었다. 임신하지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무한상상실 단장을 맡고 있는 박성준 한국교통대 기계자동차항공공학부 교수는 “충북 지역은 문화 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데 무한상상실이 작은 교육문화시설로 자리잡고 있다”며 “어린 학생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대학생까지 아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메이커 교육을 대중화하는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연구팀은 의학저널 ‘랜싯글로벌헬스’ 3월호에서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살모넬라 타이피균과 iNTS 균이 다제내성(2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내성)을 갖고 있다”면서 “iNTS백신을 개발하고 현재 임상 개발 중인 장티푸스 백신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