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역"(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나타났습니다. 호주의 사진작가 알렉산더 키무신이 지난 6개월 동안 시베리아를 지역을 여행하며 찍은 울치족 소녀. 한국인과 매우 닮은 모습이다. 더 많은 사진은 facebook.com/xperimenter 또는 khimushin.com에서 볼 수 있다. ▶한 번쯤 나는 어떤 인종의 혼혈인지 궁금했던 적이 있을 겁니다. 수학적 ... ...
- [과학뉴스] 사람의 코 모양은 기후 탓?!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사람의 코는 냄새를 맡고 숨을 쉬는 것뿐만 아니라, 들이마신 공기를 적절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래야 코 안의 ... 아슬란 자이디 연구원은 “코 모양에 좋고 나쁨은 없다”며, “사람들이 살고 있던 지역의 환경에 따라 적응한 결과일 뿐”이라고 말했어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하늘 을 나 는 제비 를 닮은 제비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4월 즈음, 땅에는 자그마한 보랏빛 제비가 돌아와요. 바로 제비꽃이지요. 꽃이 핀 모양이 마치 제비가 날개를 활짝 펴고 하늘을 나 ... 옮기고, 엘라이오솜만 먹은 뒤 남은 씨를 집 주변에 버려요. 이런 과정을 통해 제비꽃은 먼 지역까지 씨를 퍼뜨릴 수 있답니다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날개, 재난 지역을 날다!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Part 5. 3D프린터, 트랙터까지 내 손으로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따라 이동했고, 때로는 서로 통과하기도 했다.그리고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했다! 특정 지역에서 파동이 중첩됐던 것. 이 때 파동의 진폭이 급증했다. 각 파동은 일정한 양의 빛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처럼 파동이 겹쳐지면 전체적으로 빛도 증가한다. 그 결과, 대기광의 강도가 수 배로 강해지면서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범인을 검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검거하기 위해 DNA를 대량 검색했습니다. 사건 현장 주변에 사는 1300여 명의 DNA를 채취했고, 사건 피해자의 옷에서 발견된 범인의 DNA와 비교 분석해 결국 성폭행범을 잡았습니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앨라배마 셰이크스 멤버들이 태어난 곳은 이 로켓시티 헌츠빌 바로 옆이에요.이 지역에는 수학마니아를 위한 국제 수학리그가 있습니다. 이름마저도 로켓시티 매스리그(RCML)! 개인전 시험 종목 이름도 로켓시티에 걸맞게 지었어요. 총 5단계인데, 순서대로 기본 대수학의 이름은 탐험가를 뜻하는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통신위성을 쏘아 올린 것에 대해 곽 랩장은 “중국처럼 땅이 넓어 광통신망이 없는 지역에서 쓰거나 미래에 전 지구적인 양자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자통신위성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올해 4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5년 양자기술과 관련한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온도, 습도, 풍향과 풍속, 대기안정도 등의 정보를 입력한 결과, 폭발하면 반경 107m 지역이 가장 위험했다. 반경 499m까지는 통제구역에 속했다.자일렌이 해상에서 확산되는 정도도 예측했다. 최종욱 국민안전처 기동방제과 주무관은 “자일렌은 상온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해상에서의 거동도 예측해야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옛 역사를 추리하고 있다. 학자들은 호주와 아프리카를 하나로 이은 고대의 대륙을 두 지역의 이름을 합성해서 ‘발바라(카프발+필바라)’라고 부른다. 이처럼 광물, 특별히 철은 지구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자연의 박물관이다.이지섭_director@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