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넣어 이를 모아놓은 것 현재 다양한 생물 종의 유전자 라이브러리가 만들어져 있으며
연구자
들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얻어 실험에 쓸 수 있다천문학에서 거리를 재는 단위의 하나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1AU다태양계 초기에 가스와 티끌 등이 뭉쳐 만들어진 수km 크기의 작은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 기술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을 진단하는 데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다른
연구자
가 미처 보지 못한 분야를 먼저 개척하길 즐긴다는 조 교수는 누구보다도 ‘발상의 전환’에 강하다. 그는 “안경에 정밀한 거울을 설치해 눈의 망막 속으로 직접 빛을 쏘는 방식의 나노구동기가 있다면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TRPM8이 발견됨으로써 진짜 온도 감각에 영향을 준 결과라는 사실이 밝혀진 셈이다.2007년
연구자
들은 TRPM8이 없는 생쥐를 만들었는데 예상대로 멘톨에 반응하지 않았고 저온에 둔감했다. 즉 20℃와 30℃로 맞춰진 방이 있을 때 정상쥐는 30℃ 방을 택한 반면 TRPM8이 없는 녀석들은 둘의 차이를 구별하지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 3위를 차지했대.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대학교 김정하 교수팀이 플로리다대학교팀과 공동
연구자
로 참가했는데, 2008년 대회부터는 단독으로 참가할 계획을 세우고 있대.무인 자동차 연구가 활발해지면 앞으로 졸음을 참아가며 운전할 필요가 없어지고, 화물을 운송 할 때는 사람 없이 자동차가 짐만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제시한 흔적들은 자연발화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있다.장소마다
연구자
들은 다른 종류의 증거를 발견했다. 그 가운데 어느 것도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불 피운 자리가 여러 곳에서 나왔다는 것은 당시 인류가 불을 조작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생각한다.Q_79만년 전 요리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주장했다.이 주장에는 여러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이
연구자
가 오성취합의 기록이 조작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즉 ‘단기고사’와 ‘단군세기’의 신빙성을 높이기 위해 누군가 일부러 오성취합의 기록을 적어 넣었을 가능성이 크다.실제로 ... ...
줄기세포의 화려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바탕으로 획기적인 결과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를 지키고 있는 국내
연구자
들의 투지도 만만치 않다. 외국의 편견을 극복하고 재도약하기 위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국내외에서 벌어지고 있는 줄기세포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저자는 없지요.”김계성 교수의 지적대로 최근 미국과 일본
연구자
들을 중심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굵직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IH)과 국내 줄기세포 동향 조사 연구진이 선정한 2007년 상반기 줄기세포 관련 주요 논문의 제목만 봐도 최근 줄기세포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아직까지 사람을 대상으로 세포치료를 시행했다는 소식은 없다. 그러나 최근 많은
연구자
들이 줄기세포가 특정 세포로 분화하도록 ‘설득’하는데 연이어 성공하고 있으며, 이렇게 얻은 세포를 최초로 세포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국내외 과학자들 사이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발달생물학에 길을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brachyotis)가 날아다닌다. 그런데 이 조그만 생명체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공기역학
연구자
들은 과일박쥐가 공기의 흐름을 어떻게 바꾸며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는 과일박쥐 비행을 컴퓨터모델로 만들었다. 박쥐가 날개를 펄럭일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