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포
사격
방출
방사
저격
출산
분만
d라이브러리
"
발사
"(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었던 것들이다.다음 문제는 물. 지난해 1월 미항공우주국(NASA)이
발사
한 루나 프로스펙터는 달의 남극과 북극에서 얼음을 발견한 바 있다. 달은 중력이 지구의 6분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있을 리 없다는 지금까지의 통설을 뒤집은 것이다. 달의 남극과 북극에 흩어져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초신성의 폭발로 형성된 중성자별인데, 이들은 빠르게 회전하면서 주기적 전파 신호를
발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지금은 우리 은하에서만 6백70여개의 펄사가 발견됐다. 펄사 주위에 행성이 돌고 있으면 펄사 신호의 주기가 변화하게 된다. 이 변화를 추론해 행성의 존재를 유추해 내는 것이다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컴퓨터 전문가들이 달려들었지만 시스템은 완전히 통제불능에 빠졌고 미사일은 결국
발사
되고 말았다. 잠시 후 불바다가 된 T시를 지켜보던 주요 인사들은 훌륭한 그래픽 효과에 박수를 쳤다.하지만 환호성도 잠시. K소령이 던진 말에 장내는 찬물을 끼얹은 듯 조용해졌다. “장군님, 이것은 실제 ... ...
인도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인도는 덩치만 큰 코끼리에 비유할 수 있다. 10억명에 육박하는 인구는 중국 다음으로 많고 땅덩어리의 크기도 세계 7위로 남한의 33배에 이른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 ... 돌지 못해 부분적으로 실패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그래서 인도는 오는 5월 우리별 3호
발사
에 국운을 걸 수 밖에 없다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전망이 밝다는 것이다.2번의
발사
, 2번의 성공. 그리고 우리별 3호. 이번에 우리별 3호를
발사
하는 연구원들은 이게 늘 불안하다. 즉 과거에 실패의 노하우를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에 실패하면 어떨까 두려운 것이다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우주망원경이 2007년에
발사
될 예정이고, 고분해능 우주배경복사 탐사선도 21세기 초에
발사
될 예정이다. 이런 관측시설들이 준비되면 뜨거운 대폭발로 시작된 우주에서 우주배경복사가 나오고, 우주 초기에 은하가 태어나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에 태어난 관측우주론은 20세기 말에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세계 최고의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미국은 옛소련의 스푸트니크 인공위성
발사
이후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강력한 과학기술정책을 펼쳤습니다.”그런데 한국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적어도 과학문화사업에서는. 조 이사장은 과학문화재단이 만들어진지 30년이 넘도록 과학기술부 장관이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과학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이다.마침내 1958년 1월 31일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
됐다. 그 안에는 밴 앨런이 만든 가이거계수기라는 측정장비도 들어있었다. 가이거계수기는 하전입자가 들어오면 고전압이 걸린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해 우주선(cosmic ray)의 수를 셀 수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 남성이 든 오른손은 선의의 표시외계인이 알아차릴 수 있는 기호는 무엇일까. 1972년 3월
발사
된 파이어니어 10호에는 외계인과 접촉할 경우를 대비한 그림엽서가 담겨 있다. 파이어니어 10호는 1973년 12월 목성 탐사를 마쳤으며, 2백만년 후 황소자리 눈에 해당하는 알데바란에 도착할 예정이다. ... ...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Radar)는 황사의 연직 분포를 조사하는 귀중한 장비다. 이 장비는 레이저빔을 상공으로
발사
해 공기중의 부유입자에 부딪혀 산란돼 돌아오는 빔을 통해 부유입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부유입자의 모양이 구형인지 각진 모양인지에 따라 편광 소멸도가 달라지므로 이를 통해 부유입자가 구름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