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번 호에서는 파키스탄인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 모하마드 압두스 살람 박사가 설립한 ‘국제이론물리센터(ICTP·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를 소개하려고 합니다.ICTP는 이탈리아의 동북쪽 국경 트리에스테(Trieste) 시에 있습니다. 트리에스테는 로마, 베네치아 같은 큰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생각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뺄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리라.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 ...
-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학동아의 여덟 번째 생일 파티 초대장을 받고 파티가 열리는 곳으로 가는 중이야. 장소는 무한호텔! 1924년에 생긴 가상 공간, 무한호텔에서 파티를 한다니 왠지 무서울 것 같았는데, 다녀온 사람들은 모두 그곳에 다시 가고 싶어 해. 무한호텔은 어떤 곳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무한호텔의 지배인, 다비드 힐베르트는 모든 방이 꽉 찬 호텔에서 아무도 내쫓지 않고 손님 한 명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모든 손님이 각자 자신이 묵고 있는 방의 번호에 1을 더한 번호의 방으로 옮긴다. 1번 방에 묵는 손님은 2번 방으로, 2번 방에 묵는 손님은 3번 방으로 옮긴 ... ...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예상했던 양보다 100분의 1 수준이었답니다.맬러스피나 해양 프로젝트를 이끈 두아르트 박사는 “바다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99%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찾지 못했다”며, “이중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바다 생물의 먹이가 됐을 것으로 의심된다”고 말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과학뉴스] 철새의 장거리 비행은 바다 냄새 덕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바다 위를 날 때 어려워했다. 연구를 이끈 올리버 패드젯 옥스퍼드대 동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철새들이 바다에서 나는 냄새를 따라 방향을 찾는다”고 결론 내렸다. doi:10.1038/s41598-017-09738- ...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루는 방식으로 만든 로봇이다. 마르코 도리고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인공지능랩(IRIDIA) 박사와 프란체스코 몬다다 스위스 로잔 공대 과학기술산업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모듈러 로봇을 개발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이 로봇은 일부 모듈이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줄어든다. 일광의 근시 영향을 연구하는 레이건 애쉬비 호주 캔버라대 건강연구소 박사는 ‘네이처’에 “실내조명이 도파민의 주기를 망가뜨려 안구의 성장을 불규칙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잘 때 끼는 렌즈 효과 있나?현재까지 연구에 따르면 근시(특히 고도 근시)는 비가역적이고 치료가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환초로 둘러싸인 잔잔한 바다가 하늘과 연결된 곳, 미크로네시아 축(chuuk) 주의 웨노섬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KSORC)가 있다. ... 친구들처럼 늘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무엇이든 열심히 하면 이후에 빛을 발할 수 있다는 박사님의 말씀도 꼭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수의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