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개발하는 방법도 있다. 1996년 당시 일본 니치아 화학공업에서 근무하던 슈지 나카무라
박사
가 파란색 LED를 개발해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을 계기로 파란색 LED를 기반으로 한 백색 LED가 상업화됐는데, 발광 효율이 낮고 색상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단점을 극복할 수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잘 휘어지는 전극이다. 이윤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이동화
박사
과정 연구원과 함께 차세대 전극 개발 방식을 독창적으로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쉽게 녹스는 구리나노선, 그래핀으로 감싸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는 반도체를 이용해 전기로 빛을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그 방법이 15가지뿐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
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합은 540°일 것, 내각은 모두 테셀레이션 무늬를 이룰 것, 한 꼭짓점에서 만나는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안전한 가운데로 도망가는 겁니다. 해밀턴의 이론은 2012년 앤드류 킹 영국 왕립 수의대
박사
팀이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 마리 양떼가 모여 있는 곳에 개를 풀어 양 떼와 개의 움직임을 기록했지요. 매 순간 양들의 위치를 기록했는데, 양떼는 무리의 중심으로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제임스 피쿨 코넬대 기계항공공학과
박사
는 “지금까지 공학자들은 부드럽고 신축성 있는 소재의 모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며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모양을 빠르고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브라 니담, 데이비드 크링 미국항공우주국(NASA) 달및행성연구소
박사
팀은 30억~40억년 전 달의 화산 폭발로 인해 분출된 가스의 양을 계산했다. 그 결과 가스가 우주로 휘발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달 표면으로 분출되면서 일시적으로 달 주변에 대기가 형성된 것으로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러시아 물리학자인 블라디미르 브래긴스키
박사
를 영입하고자 했다. 그러나 브래긴스키
박사
는 미국으로 이주했을 때 모국이 가할지도 모를 보복에 대한 두려움,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결국 제안을 거절했다(이렇게 또 한 명이 노벨상에서 멀어졌다). 대신 그 자리에 드레버 교수를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로봇 대결을 새로운 스포츠 장르로 만드는 것이지요. 메가보츠의 로봇 공학자 존 굴코
박사
는 “이글 프라임은 12톤의 무게에 430마력★의 힘을 낼 수 있는 거대로봇으로 자동차를 들어 올리거나 부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마력★1초 동안 75kg의 물체를 1m 움직일 수 있는 일의 크기. 2015년 6월 3 ... ...
[섭섭
박사
의 메이커 스쿨] 로봇과 함께하는 재미있는 코딩! ‘E-센서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코딩’이란 말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지끈한 친구들 있죠? 하지만 ‘E-센서로봇’과 함께라면 어렵고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코딩을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어요! 섭섭
박사
님과 기자단 친구들이 함께 만든 E-센서로봇을 보며 코딩의 즐거움을 느껴 봐요!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생겨난 쓸모없는 단백질은 이 림프관을 통해 배출된다. 연구를 이끈 대니얼 라이히
박사
는 “림프관을 통해 뇌에서 노폐물을 버리는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면서 “특히 지금까지 의학계에는 뇌에 림프관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