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남극을 지나는 위성에 명령을 전달해 특정 지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과정도 세종 기지가
관측
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원활히 이뤄지는 것”이라고 남 실장은 밝혔다.아라온 호 건조가 결정된 뒤에도 전개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설계팀이 배의 형태를 구상하면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배 ... ...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표준화하는 각 태양
관측
소의 규격화 상수다. K는 그
관측
소만의 고유 값으로, 장기적인
관측
을 통해 결정된다.일반적으로 흑점 수가 많아지면 플레어나 홍염이 일어나며 태양 활동이 활발해진다. 특히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은 자기장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빛이나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때는 파동의 진동수가 더 높게, 거리가 멀어질 때는 더 낮게
관측
되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다. 이동인 교수는 부산수산대를 졸업한 뒤 일본북해도대에서 지구환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부경대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환경대기연구실에서 ... ...
달 착륙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달 궤도
관측
위성의 카메라에 포착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7월 17일 달 궤도
관측
위성 LRO가 촬영한 달 표면 사진들을 공개하면서 “그중 한 장에 아폴로 11호가 착륙했던 곳이 있다”고 밝혔다.NASA의 설명에 따르면 당시 우주비행사였던 닐 암스트롱과 에드윈 버즈 올드린이 달 표면으로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전력을 적게 쓰는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먼 거리에서도 지구 자기장을 자세히
관측
할 수 있도록 감지기의 성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국내에서는 달 표면에 널린 흙으로 콘크리트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최근 한양대 토목환경공학부 이태식 교수는 경북 경주 지방의 흙으로 달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북한 2차 핵실험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혔다. 핵실험으로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파가
관측
된 뒤 거의 20일 만이다. 당시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또 한 차례의 지하핵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주장했다.미국이 북한 핵실험에 대해 이처럼 모호하게 표현한 이유는 결정적인 증거를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생략) ……북극다산과학기지여름 : 생물연구, 겨울 : 대기연구 활발(오로라
관측
)눈 속 질소의 양이 대기의 오존량과 비슷하다는 사실 알아냄.연구 중 : 동토층의 녹는 속도와 대기에 주는 영향(지질학), 새로운 종 생기는지(생물), 대기화학 구성성분 분석.마린랩 = 해양연구소북극대구 : 피 안에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물음에 답하라. 1) 2009년 5월 25일 북핵 실험으로 추정되는 지진파가 기상청에서 설치한
관측
소에서 측정됐다. (가)와 (나) 중 이날 측정된 지진기상으로 추정되는 것을 고르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서술하시오. 2) 다음 내용은 2009년 5월에 있었던 북한의 핵실험에 관한 기사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정식 명칭은 셀레네)는 2007년 9월 13일 발사된 뒤 달 고도 100km 상공을 선회하면서 14종의
관측
기계로 달의 기원을 밝힐 자료를 수집해 왔다. 일본은 2013년 달 착륙선을 발사하고 2030년에는 유인 기지를 만들 예정이다. 인도는 우주 개발 경쟁에서 혜성처럼 등장했다. 급속히 발달한 경제력과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발사체를 원격 폭파한다.발사통제동이 ‘두뇌’라면 발사체가 정상적으로 비행하는지
관측
하는 추적레이더동은 ‘눈’이다. 추적레이더동은 센터와 제주도에 설치돼 있다. 발사체가 공중에 날아오른 직후부터 위성이 분리될 때까지 움직임 하나하나를 꼼꼼히 뒤쫓는다.나로우주센터 이효근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