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돌리지 않아도 포크의 위를 잡고 아래로 내리면 스파게티 면이 포크에 돌돌 감긴다.※동
영상
은 수학동아 홈페이지(math.dongascience.com) 게시판에서 볼 수 있다.감자 칩이 휘어져 있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얇은 감자 칩은 부서지지 않게 과자 봉지 안에 질소를 충전해 담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감자 칩은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2009년까지 7년 동안 지구 표면을 가시광선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했다. 지구관측소는 이
영상
을 분석해 지표면의 온도를 알아냈는데, 2003년과 2008년을 제외한 5년 동안 세계 최고 온도를 기록한 곳이 루트 사막(오른쪽 적외선 사진)이었다. 특히 2005년 이 지역의 지표 온도는 70.7℃를 기록했는데, 이는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접목한 칩을 휴대전화에 사용하면 휴대전화를 주머니에 넣고도 외부의 물체를 찍어
영상
으로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사생활 침해를 우려해 약 10cm 이내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중이다. 이 기술은 특히 벽 속의 물체 감지나 위조지폐 감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주파수의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최근에 뇌 활동을
영상
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fMRI)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가뇌조절 또는 자기치유 기술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2010년 독일 튀빙겐대의 안드레아 카리아 박사는 실시간 fMRI를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왕성은 비슷한 점이 많다. 그러나 두 행성은 굉장히 다르기도 하다. GJ 1214b의 온도는
영상
232℃다. 해왕성의 영하 234℃보다 훨씬 뜨겁다. 이것은 GJ 1214b가 모성을 껴안듯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겨우 270만 km 떨어져서 38시간에 한 번 공전한다. 이에 비해 해왕성은 태양에서 43억 km 떨어져 165년에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양이 많고 의미의 폭도 넓다. 박 교수는 “똑같이 기후변화 정책에 찬성하는 내용이라도
영상
에 따라 정도가 다르다”며 “이런 미묘한 차이가 댓글의 네트워크에 어떤 변화를 줄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박 교수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연구도 놓치지 않았다. 2003년과 2009년 전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촬영한
영상
에 색을 입혀 정보 해석에 도움을 주는 기술도 개발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
영상
처리를 할 때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부위별로 다른 색을 입히면 연구자가 사진을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이처럼 MRI와 관련한 기반기술로 확보해 많은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들기 전에 직접 잠수정을 타고 12번이나 타이타닉을 탐사하기도 했다. 이때 찍은
영상
은 영화 속에 교묘하게 섞여 있다.[사우스샘프턴 항구에 정박해 있는 타이타닉.][타이타닉은 앞쪽이 먼저 가라앉으면서 물 위로 솟아오른 뒤쪽의 무게를 못 이기고 반으로 부러졌다.(왼쪽 사진)영하에 가까운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기대가 크다. 주 반사경의 면적이 허블우주망원경보다 5배나 큰 만큼 더욱 선명한
영상
을 보여줄 것이다. 우주비행 기술이 더욱 발달한다면 달의 뒷면 같은 곳에 거대한 망원경이 있는 천문대를 지을 수도 있다. 그런 날이 오면 천문학자들 스스로 망원경을 따라 우주로 나가지 못해 안달이 아닐까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셈이다. 몸의 비율뿐 아니라 얼굴도 갈수록 둥근 형태로 변했다. 최윤선 부천대학 만화&2D
영상
그래픽전공 교수는 “시대의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캐릭터의 성공 비결”이라며 “캐릭터를 개발할 때 철저한 시장조사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