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달된 돌덩어리는 방사성물질?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방사선 궤적을 볼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한 활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5
백
mL용 페트병 2개를 준비한다. 한 페트병에는 향의 연기를 조금 넣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둔다. 그리고 두 페트병에 각각 알코올 1mL 정도를 넣고 뚜껑을 닫은 다음, 페트병을 손바닥으로 따뜻하게 해서 알코올을 증발시킨다.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부착됐다.1975년 마침내 베네라 9·10호가 역사적 임무를 띠고 금성에 무사히 착륙해 흑
백
사진을 찍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1982년에는 베네라 13·14호가 착륙 장소 선정에 미국의 파이어니어 비너스호의 도움을 받아 무사히 착륙한 후 금성표면에서 컬러사진을 찍어 보내왔다. 행성으로부터 온 사진들은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유적지를 발굴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신기술이 나올 때까지 10년이고 1
백
년이고 무작정 기다릴 순 없지 않은가. 가상 복원은 이런 경우 필요하다.가상발굴의 개념은 발굴 후의 영상 복원이 아니라 실제 발굴 작업에 착수하기 전 발굴 유물의 상태와 발굴 유적의 공간 배치 구조에 대한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혼합물이다. 그런데 질소는 끓는점이 -1
백
96℃, 산소는끓는점이-1
백
83℃이다. 따라서영하 1
백
℃의 저온에서도 공기는 액체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습하다는 성질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한편 공기가 뜨거운 성질을 가졌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설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항상 성립하는 진리처럼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미국의 생명공학업체 엔트로피아에서 내놓은 AIDS 치료제 개발 계획, 질병치료용 단
백
질을 개발하기 위한 스탠포드대의 게놈앳홈(Genome@home) 프로젝트 등. 이들 프로젝트는 이미 국가간 경쟁을 넘어 전세계 프로젝트로 추진되고 있다. 국적과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동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 ...
전자레인지에 목욕시킨 애완견을 넣는다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일부러 불을 내서 큰 화재로 번지는지를 시험해보기도 한다. 이같은 안전 테스트는 1
백
여년 전에 미국의 보험회사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시 전기제품이 등장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화재사고로 보험회사가 애를 먹었기 때문이라고.7월부터 제조업체 배상책임 강화한편 제품이 일정한 ... ...
특별한 물리교사 도다 이치로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털어놓는다.약 20년 전 그는 학교가 있는 토야마에서 규슈의 나가사키까지 편도 약 8
백
km 거리의 수학여행을 간 적이 있었다. 여행 내내 휴대용 방사선량 측정기인 서베이메타로 자연방사선을 측정했다. 학교에 돌아와 학생들에게 자연방사선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환경이 깨끗한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크리스마스 때 과학강연에 참석하곤 했다. 특히 우리로서 부러운 점은 이 강연회들이 1
백
5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으며, 아직도 크리스마스 강연회의 강연자로 초청받는 것을 과학자로서 가장 큰 영예로 받아들이는 영국의 뿌리깊은 과학문화에 대한 역사와 전통이다.이 책은 1860년도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막 무령왕릉 입구를 막은 직후의 모습까지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벌써 30년이 지났건만
백
제 역사 연구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단순한 무령왕릉 연구가 아닌 ‘무령왕릉학’이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연구 범위가 광범위하다. 이 무령왕릉학 연구의 일부분으로 디지털 복원이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애매하다. 그리고 또다른 구분법을 얘기하는 과학자도 있다. 현재 반도체칩은 선폭이 1
백
nm보다 가늘어지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를 맞고 있다. 나노기술은 바로 이 점을 해결해줄 차세대 기술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즉 지금보다 더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요소들을 집어넣을 수 있느냐가 나노기술의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