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온도값은 전자현미경으로 읽을 수 있다.탄소나노튜브 온도계가 잴 수 있는 영역은 50-5
백
℃. 연구팀은 액체 갈륨의 끓은점이 매우 높아, 앞으로 이 온도계의 측정 영역을 1천℃까지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전의 마이크로 단위의 온도계는 냉동액체를 이용했는데, 이 때문에 영하2
백
69-영하1
백
93℃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채취를 통해 먹은 음식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1만년 전부터 시작된 농업혁명과 2
백
년 전에 시작된 산업혁명은 우리의 음식 패턴을 급격히 바꿔버렸다.그렇지만 우리 몸의 DNA는 여전히 석기 시대인의 DNA이다. 생활과 문화 속에 깊숙이 파고든 음식 문화를 하루 아침에 바꾸기는 어렵지만, 밥상을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발생량은 1999년 기준으로 하루평균 1천5
백
만t에 달한다(하수처리시설 용량은 하루 1천8
백
만t). 우리나라의 하수도 보급률 66%를 고려하면 실제 하수처리장으로 들어와 처리되는 물은 하루 약 1천만t으로, 1년에 약 36억t이나 된다. 더욱이 하수는 계절에 따라 들쭉날쭉하게 변하지 않고 거의 일정하다.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김단장이 말한 30억${m}^{3}$가 어느 정도 양인지 한번 생각해보자. 깊이 30m고 너비가 1
백
m라면 길이는 무려 1천km가 된다. 불과 10년 안에 이 엄청난 공간 안에 가득 채운 물을 매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커다란 강 하나가 새로 생기는 셈이다.단장은 연결고리 역할김단장은 30억${m}^{3}$이란 목표를 ... ...
전자총 세례받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제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 마련돼 있다. 안테나는 위아래로 움직이며, 테이블은 3
백
60°를 회전한다. 따라서 안테나의 높이와 테이블의 회전을 통해 제품이 사방으로 발생시키는 전자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정한 최고치가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한다.이와는 반대로 외부 전자파에 ... ...
페트병 속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중남부에서 자주 일어나는 맹렬한 회오리바람으로 평균 지름이 2
백
m 정도지만, 수-수
백
m로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 같다고 해서 용오름이라고 부른다. 지난해 여름에 우리나라에서 5차례 발생했다. 여름철에 주로 토네이도가 발생하는 까닭은 지표면 가까이의 대기가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니라 자유낙하였다”고 말했다. 던지기가 무섭게 바닥에 처박혔기 때문이다. 날개를 1
백
종류 이상 바꾸는 연구 끝에 로봇새는 2001년 2월 눈이 내린 어느날 하얀 눈밭을 가르며 14초를 나는데 성공했다. 지금은 매가 사냥하듯 공중을 맴돌다 다이빙하는 곡예비행까지 보여준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만성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길이다. 하지만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단
백
질과 지방은 꼭 필요한 영양소이므로 모든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 ... ...
차세대 메모리 칩 제조하는 나노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성질), SRAM의 빠른 처리속도를 말이다. MRAM에 대한 잠재적인 시장가치는 매년 1천억달러 (1
백
조원)일 것이라고 한다.해외 평가자로부터 월드 클래스 인정받아미래의 거대 시장을 장악할 스핀트로닉스는 현재 높은 인기를 얻고있는 나노과학에 속한다. 나노영역에서 나타내는 자기성질이 연구되기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chaos)라 불린다.카오스적인 기상의 특성 때문에 이를 예측하는 일은 상당히 어렵다. 1
백
년 후에 일식이 올 시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지만, 1주일 후 비가 올지 안올지 예측한 것은 영원히 100% 맞힐 수 없다. 이 때문에 물순환 컴퓨터 모형에서 기상은 고려할 수도 고려안할 수도 없는 천덕꾸러기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