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사람들은 저를 로그를 만든 수학자 정도로 알고 있어요. 그런데 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무리수 2.718…이 처음 등장했다는 사실은 모르는 것 같아요. 순서로 보자면 ‘오일러 수’가 아니라 ‘네이피어 수’라고 불러야 하는 거 아닌가요?수학을 연구하다 보면 소수점 아래 수가 길고 복잡한 수를 ...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정리하고 분류하는 방식으로 인기 있는 소설의 공통점을 찾고, 이 연구결과를 ‘유럽 물리학 저널 데이터 사이언스’ 11월 4일자에 공개했다.이야기 흐름의 비결 ‘감정선’연구팀은 인류가 만든 자료를 모아서 전자정보 형태로 저장해 배포하는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에 올라온 이야기 중 150번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번째)의 이야기도 직접 들어봤다. 윤 연구원은 “1학년 1학기 때 박기복 교수님의 일반 물리 수업을 듣다가 강의에 홀딱 반해서 무작정 연구실을 찾아갔다”며 “교수님께서는 ‘측정 프로그램을 짜는 것부터 한번 해보는 게 어떻겠냐’면서 연구실에 받아 주셨다”고 말했다. 2012년에는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나왔다. 부드러운 재료로 만든 탓에 쉽게 마모되고 열화(절연체가 내·외부영향으로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나빠지는 현상)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고자 단단한 재료로 바꾸면 원래 목표로 했던 성능이 잘 나오지 않았다. 이는 기술을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다. 김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입자가 수증기를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일자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시원하게 하거나, 지구에서 빠져나가는 방사선을 흡수해 지구를 데우는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잡한 화학작용으로 공기 중에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모형을 실험했는데 그 실험결과가 실제와 동일하다고 신뢰할 수 있는 이유는 뭘까. 이는 물리학 법칙에 따라 모형을 만들었기 때문인데, 마치 비례식을 푸는 것과 유사하다. 실험하려는 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 방정식은, 모형의 구조와 운동 특성이 실제와 동일한 비율로 유지될 경우 결과 값도 ...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질에서 자기적인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이론적으로 예측한 것이다. 1944년에는 2차원 물질에서 자기적인 상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도 ... ...
- [과학뉴스] 지구 핵 속 미지의 원소, 정체는 규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구의 핵을 구성하는 성분 중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5%의 정체가 규소(Si)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자들은 지구의 핵은 약 85%가 액체 상태의 ...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지구물리학연맹 연례회의에서 2016년 12월 13일 발표됐다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울프상 시상식이 이스라엘 에레츠 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울프상은 수학과 화학, 의학, 물리학, 예술, 농업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수상자 130여 명 중 40명이 평균 5년 뒤 노벨상을 받아 ‘예비 노벨상’이라고도 불립니다.올해 수학 부분 수상자는 리처드 쉔 미국 ...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은 뛰어나지만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레이저 같은 광소자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