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5,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수학동아 l201011
- 만약 뱀 장군의 금상과 개 장군의 금상이 수평을 이루면 뱀장군은 결백한 것이고, 어느 한쪽으로 기운다면 뱀 장군이 범인입니다.뱀 장군 : 잘 알고 있으니 어서 저울에다 올려 주십시오.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결과를 보기도 전에 저만치 쥐 장군이 쥐구멍을 찾아 헤매고 있군요.마지막 저울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11
- 선정하고, 그 곳에 돌을 두었을 때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를 먼저 생각한 뒤 가장 유리한 쪽에 돌을 둔다. 이런 사고 과정은 수학의 최적화 이론과 관련이 있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정확한 답을 구할 순 없지만, 여러 가지 조건을 비교해 수학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다.오목에는 ...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수학동아 l201011
- 배운다. 필수로 들어야 하는 과목이 있는데 수학은 3과목이 포함돼 있다. 수학이나 과학 쪽으로 진학할 학생은 수학을 2과목 정도 더 선택해서 듣는다.캐나다에서는 선행학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수업을 마친 뒤에 수학을 따로 배우는 학생도 드물고 학원도 거의 없다. 다만 한국이나 중국 등 ...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011
- 위해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물론 모든 동물은 체구가 작은 쪽이 에너지 효율이 더 나쁜데, 몸무게에 비해 피부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 항상성을 유지하려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이 때 비록 적은 음식이지만 조금씩 식사를 계속하는 것은 생존기간을 늘리는 데 큰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11
- 한국 재래종 마늘은 육쪽마늘과 여러쪽마늘로 나뉜다. 김치에는 매운맛이 강한 여러쪽마늘이 많이 쓰인다. 보통 가을에 심어 이듬해 5~6월에 수확하기 때문에 김장 때 쓰려면 3~4개월 이상의 저장기간을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김장용 마늘을 구입할 때는 ‘저온보관’ 했던 것인지 확인하고 사는 ...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과학동아 l201011
- 홈이 파인 것도 같은 원리에서다. 또 물과 정면으로 부딪치는 부분은 상어의 코 앞쪽처럼 거친 돌기로, 물이 몸을 따라 흘러내리는 부위는 부드러운 돌기로 구성돼 있다. 팔과 어깨, 다리처럼 물과 직접 부딪히는 부위는 거친 옷감을 사용해 물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가슴과 배처럼 물이 흘러 ...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과학동아 l201011
- 기조력이다. 달에 가까운 쪽은 원심력보다 중력이 커서 바닷물이 달을 향해 당겨지고, 먼 쪽은 원심력이 커서 달에서 멀어지는 힘을 받는다. 중력이 큰 블랙홀은 기조력 또한 크기 때문에 블랙홀에 가까이 접근하는 물체는 기조력을 받아 부서진다. 웜홀을 우주 여행에 이용하려면 먼저 이 문제를 ...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011
- 비해 평범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닥에 얇은 철판이 설치돼 있다. 이 철판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끌면 지각 변동, 즉 지진을 재현할 수 있다.이렇게 만들어지는 지진해일은 파도라기보다는 거대한 물 벽에 가깝다. 일반 파도는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해안에 밀려오는 반면, 지진해일은 물 벽을 ...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과학동아 l201011
- 내는 것과는 다른 강한 전달력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방법은 성대보다 더 아래쪽에 있는 인두강을 넓히고 후두부를 넓혀 공명 현상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악 수업에는 ‘목을 열라’는 표현이 많이 등장한다. 목을 여는 데는 호흡의 도움이 크다. 횡격막이 하강해 후두가 경추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11
- 이 발견을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나눠 실었다. 10쪽 분량의 첫 번째 논문은 새로운 미각 수용체 무리의 발견에 대한 내용이고, 이어지는 9쪽 분량의 논문은 이 수용체 무리가 쓴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내용이다.단맛과 감칠맛의 교묘한 지각 메커니즘2001년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