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01
- 참여해 거시세계에서 상대론을 검증하기 시작했다.광시야관측으로 은하 수천만 개의 분포를 알게 되면 우주거대구조가 진화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가정한 중력상수가 우주 전 공간에 적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런 노력이 2020년경에는 결실을 맺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이 ... ...
- [과학뉴스] 더 자연스러워진 ‘생각으로 움직이는 로봇 팔’과학동아 l201501
- 생각으로 움직이는 ‘마인드컨트롤’ 로봇 팔의 자유도(움직이는 축)를 기존 7개에서 10개로 늘렸다고 ‘신경공학저널’ 12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환자가 로봇 팔 조절능력을 훈련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가상의 물체를 넣어 물건을 잡는 훈련을 시켰다. 환자는 이를 통해 팔을 더 ...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501
- 핵에너지를 내뿜는 방사성 동위원소도 많았다. 지구는 더 뜨거워졌다. 핵폭탄 수천 개가 끊임없이 지구로 떨어지는 모습을 상상해보자!판구조운동이 일어나려면 섭입과 판당김 현상이 일어나야 한다. 섭입은 밀도가 큰 판이 밀도가 낮은 판 아래로 들어가는 현상이다. 일본에 지진이 많은 이유가 ...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과학동아 l201501
-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LCD 화면은 특성상 잔상이 심하게 남기 때문에, 1초에 120~240개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보여줘야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모든 방송 영상이 이 정도로 많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죠. 비결은? 바로 수학이에요. 복잡한 방정식으로 전후 영상을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01
- 성기가 양쪽에 한 쌍이 있지만, 악어 거북이 포유동물 그리고 몇몇 새들은 오직 한 개지요. 크기도 제 각각입니다. 아르헨티나 호수 오리는 현존하는 척추동물 중 몸 길이 대비 가장 긴 성기를 갖고 있습니다.이토록 독특하고 복잡한 생식 방법을 지구에서 처음으로 발명한 판피어가 이제 좀 달라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01
- 결과를 포함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논문의 결론은 이렇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13개 브랜드의 전자담배 증기를 분석한 결과, 9개 브랜드에서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 같은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하지만 대부분 일반담배보다 양이 적었다.전자담배도 간접흡연 위험 있다문제는 이번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01
- 됩니다. 한 5년 동안 우리는 일반 상대론 내의 인과 구조에 대한 이론을 독점적으로 개발했죠. 아주 멋진 일이었습니다. 입자물리학처럼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죠. 당신도 입자물리학을 연구한다면서요?”┗네. 말씀대로 우리 분야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만 하면 모든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01
- 제대로 발도 디뎌 보지 못했다. 하지만 출항부터는 2년, 부빙에 갇힌 뒤부터는 1년 7개월이 지나는 동안, 이들은 최악의 남극 조난 상황을 견뎌 냈고 단 한 명도 죽지 않은 채 무사히 살아남았다. 탐험은 명백한 실패였지만, 실패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01
- 이는 약물이나 알코올에 중독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음식을 먹었을 때 뇌의 복측피개(VTA)에서 분비된 도파민이 전전두피질, 측좌핵, 편도체, 해마 등 뇌 전체로 전달되면서 뇌 전체가 행복감을 느끼고, 이런 쾌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중독이 된다. 실제로 음식에 탐닉하는 사람의 뇌를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01
- 같은 액체금속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원자로에서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중성자입니다. 중성자는 핵분열 후 초속 10만km가 넘는 속도로 튀어나오는데,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쇄적으로 다음 반응을 일으키는 게 중요합니다. 만약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면 물속 수소와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