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개"(으)로 총 21,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②] 재정의되는 건 몰질량(M) 아니죠~ 물질량(㏖)입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6
- 몇 개 들어가있는지 계산할 수 있다. 단위 격자 개수를 알게 되면 자연스럽게 원자가 몇 개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알게 된 아보가드로 수는 현재 NA= 6.02214129 × 1023 mol−1이다. 키블 저울을 이용해 계산한 플랑크 상수와도 맞아 떨어지는 숫자다(내년 물질량 재정의까지 바뀔 가능성이 전혀 ... ...
- [퀴즈] 사람의 피 냄새, 개보다 사람이 잘 맡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6
- 퀴즈에서 만나 보세요. [냄새 관련기사] 1. 냄새 못 맡으면 살도 빠진다?2. 사람이 개보다 잘 맡는 냄새는? 3. 두리안 ‘X냄새’가 궁금하다! ※ 편집자 주 과학이 어렵고 딱딱한가요? 과학 상식과 생활 정보를 머리 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OX퀴즈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최신 과학 정보부터 ... ...
- 인도 우주발사 비용 10분의 1로 줄인 비결은?동아사이언스 l2017.07.15
- ㅡ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세계 우주 강국들의 우주 개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우주강소국에서 배운다] ② 인도 우주발사 비용 10분의 1로 줄인 비결은? ③ 중국의 우주 굴기, 국제 협력·상업화로 이어간다 ④ 국가 안보, 민간 활용...실용적 목표 주력하는 日 ... ...
- 파라다이스 같은, 91억짜리 작은 섬 팝뉴스 l2017.07.15
- 등을 기르는 닭장, 작은 술집, 개인 교회, 선착장 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다. 부동산 개발업자 존 캐쿨리디스가 1993년 130만 달러에 구입해 세상을 떠난 아내와 함께 섬을 가꾸며 살아 왔다. 현재 판매 호가는 795만 달러. 91억 원 가량이다. 호프 아일랜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보면, 자체로 작은 ... ...
- ‘물고기를 사냥한 물고기’ 영상 화제 팝뉴스 l2017.07.14
- 화제다. 코디 월터스가 10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영상은 조회수 1800만 회가 넘고 댓글은 1만개를 훨씬 넘는다. 영상은 머스키라는 물고기가 파이크(강꼬치고기)를 입에 물고 헤엄치는 장면을 담았다. 머스키는 악어 등 포식자의 느낌이다. 자기만한 물고기를 입에 물고 유유히 헤엄친다. 스타트리뷴과 ...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조건에 해당하는 소행성은 12개 뿐. 하지만 지구의 궤도를 관통할 수 있는 소행성은 단 한개도 발견되지 않았다. 소행성 충돌로는 물곰을 죽이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다른 조건은 0.14광년 떨어진 가까운 거리에서 초신성이 폭발하는 경우다. 초신성은 태양 10배 이상의 질량을 갖는 항성(별)이 ... ...
- 대한민국 스타과학자의 산실, 젊은 과학자상 20년史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수상했는데 약 10년 뒤인 2007년 최성현 교수는 4세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과 알고리듬을 개발한 공로로 수상했다. 1997년 당시 ‘생분해성 고분자 연구’라는 주제로 수상한 이상엽 KAIST 교수는 젊은 과학자상을 받는 후배들의 실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젊은 과학자들의 실력은 탁월해져 당시 ... ...
-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반박했다. 현재까지 이론적으로 행성 9의 중력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진 소천체는 단 12개뿐이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행성과학그룹장은 “최소한 행성 9 궤도 주변의 모든 천체의 움직임도 행성 9의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 인공지능(AI)으로, 사람 표정 꼭 닮은 로봇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역할만 하는 근육들을 제외하고 23개의 모터로 근육을 대신한다. 이 그룹장은 “향후 개발될 로봇은 감정의 정도에 따라 얼굴 표정을 달리하고, 사람이 무의식중에 짓는 표정까지도 따라할 수 있게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핵심 전자소재 기능성 복합산화물 30배 빨리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3
-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재현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민구 신소재개발실 책임연구원은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기능성 복합산화물의 고효율 대량 생산을 통해 국내 부품 소재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 ...
이전1600160116021603160416051606160716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