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담
절망
낙망
실패
자포 자기
낙심
실의
스페셜
"
실망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때 본 영화 ‘그래비티’가 정말 대단한 작품이었다는 감상에 잠겼다. ‘기대가 크면
실망
도 크다’는 진부한 문구가 삶의 핵심을 꿰뚫고 있는 말임을 다시 한 번 깨달으며. 지금 생각해보니 ‘인터스텔라’에서 ‘그래비티’를 보며 느낀 감동이 재현되길 기대했던 게 애초에 무리였던 것 같다.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교수의 업적을 인정하며 "노벨상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실망
하지 않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물리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타터(Douglas Hofstadter)가 제안한 전자와 자기장 간의 함수를 세계 최초로 물질 차원에서 구현했다. 이 함수를 그래픽으로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규명해 수술을 하지 않고도 비슷한 효과를 보는 방법을 찾는 과학자들에게 약간
실망
스러운 연구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쥐를 대상으로 위우회술을 한 뒤 장기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위주머니와 연결된 소장(공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현상을 발견한 것. 연구자들은 평소 어느 정도 ... ...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창구, 창조경제타운!
동아사이언스
l
2014.07.21
엄마아빠도 제 아이디어를 그냥 황당무계하다고만 생각하셨잖아요. 저도 그때 엄청나게
실망
했어요. 아, 나의 식탐은 여기서 끝이란 말인가? 하고요.” “그랬지. 누가 봐도 황당무계했지, 그때는.” “그래도 혹시나 몰라서 ‘멘토와의 대화’를 신청했어요. 다른 사람들이 멘토링 받은 사례를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7t으로 늘린 검출기가 작동될 예정이라고 하니, 설사 이번에 검출에 실패하더라도 아직
실망
하기는 이르다. 참고로 윔프는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지만 매우 드물게 제논과 충돌해 소멸하면서 광자를 내놓을 것으로 믿고 있다. 따라서 제논 양이 20배 가까이 늘면 검출확률도 그만큼 높아지는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헨리 퍼킨 : 합성 염료 시대를 열다
KOITA
l
2014.05.27
예상치 못한 부산물인 더러운 적갈색의 끈적끈적한 물질을 얻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망
하고 다른 길을 찾았을 것이다. 특히 18살도 되지 않는 젊은이로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퍼킨의 나이 고작 18살이 채 되지 않았는데도 자신의 실패작인 더러운 물질의 효용성을 간파했다는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50년 전보다 지금 우리 식품과 개인 삶에 화합물이 더 많이 침투해있다는 사실에 분명
실망
할 것이다. 하지만 이 화합물들이 어떻게 몸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커진데 대해서는 기뻐할 것이다”라고 썼다. 그리고 “‘침묵의 봄’이 출간되고 18개월 뒤,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임상3상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1억 달러(약 1000억 원)가 훌쩍 넘는 비용이 들었지만
실망
스럽게도 아무 효과가 없다는 결과가 나온 것. 한편 다른 두 곳에서 동시에 재현한 동물실험에서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페린 박사는 2008년 논문에 실린 실험에서는 왜 효과가 있는 것으로 ... ...
[만화] 야구의 꽃, 홈런이 탄생하기까지
KISTI
l
2014.04.17
아닐까? 그러니까 여기서 아빠가 하려는 말의 요지가 뭐냐 하면, 너도 머리가 나쁘다고
실망
만 하지 말고….” “에이, 걱정 마세요. 제가 공부 머리는 나빠도 중측두피질 하나는 어마어마하게 발달해 있다고요. 수업 시간에 제가 졸면 선생님이 분필을 던지시겠죠? 그러나 저는 절대 맞지 않아요.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이에 대해 “여전히 모른다”며 “아울러 꿈을 왜 꾸는지도 모르는 건 마찬가지”라는
실망
스러운 대답을 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꿈의 해석’을 펴낸 지 100년도 넘는 세월이 흘렀지만 꿈은 여전히 미스터리한 현상이라는 말이다. 다만 꿈에 대한 여러 가설이 있고 이를 토대로 악몽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