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담
절망
낙망
실패
자포 자기
낙심
실의
스페셜
"
실망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
2018.12.15
것이다. 결국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바라기 때문에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이후
실망
과 분노까지 겪게 된다는 것이다. 삶의 의미는 기다렸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추수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그때그때 힘든 과정 속에서도 추수할 수 있는 무엇이어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따라서 고생 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때문에 2배는 아니다. 2/(55/39)=1.4). UHD 콘텐츠 턱없이 부족 그러나 기대는 곧
실망
으로 바뀌었다. 필자가 가입한 IPTV 업체가 제공하는 그 많은 채널 가운데 UHD 영상을 내보내는 채널은 세 곳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것도 다 100번 밖으로 지금까지 있는 줄도 몰랐다. 어이가 없었지만 도대체 UHD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사이언스’가 아니다!)를 아는 사람이라면 어떤 결과일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실망
스럽게도 네안데르탈인 두 명의 FOXP2 염기서열은 호모 사피엔스와 동일했다. 즉 인간형 FOXP2는 둘이 갈라진 50만여 년 전보다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는 뜻이다. 이제 인간형 FOXP2에 언어 유전자 지위를 계속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의 성분으로 교감신경흥분제인 에페드린(ephedrine)을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결과는
실망
스러웠다. 즉 마른 사람은 열생성이 활발해졌지만 뚱뚱한 사람은 약발이 안 들었다. 이는 뚱뚱한 사람의 경우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경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열생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하기 때문에 야생 코알라를 보러 유칼립투스 숲을 찾아간 관광객들은 잠만 자는 모습에
실망
하는 경우가 많다. GIB 제공 잡식동물의 딜레마, 해결책은 미식? 반면 잡식동물인 사람은 코알라와는 정반대의 상황에 적응했다. 폴란은 “음식 선택에 관련된 정보들이 너무 많아 유전자에 모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예술가였다’라며 대서특필했지만, 막상 그림을 보면 뭘 그린 건지도 모를 정도라 좀
실망
스럽다. 그러나 네안데르탈인이 멸종하고 얼마 안 된 3만여 년 전 현생인류가 프랑스 쇼베동굴에 남긴 벽화를 보면 너무나 생동감 있는 사실적 묘사에 전율하지 않을 수 없다. ‘잘 그리긴 했지만 나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2018.04.21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정할수록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의 존재에 쓸데없이
실망
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저 한 발짝 떨어져 슬플 때는 ‘내가 지금 슬프구나’, 기쁠 때는 ‘내가 지금 기쁘구나’ 하고 생각하는 것으로 족하다는 것이다. 감정은 평가할수록 나빠질 수 있다는 것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두 논문을 읽으며 필자는 문득 한라봉과 천혜향의 족보가 궁금해져 알아봤는데
실망
스럽게도 둘 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게 아니었다. 한라봉은 1972년 일본에서 키요미와 폰칸을 교배해 만든 품종이다. 폰칸은 2014년 논문에서 분석한 유형2 만다린이다. 혹시나 해서 2018년 논문에서 키요미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똑같이 하위 10%의 처참한 성적을 거두어도 비교적 덜
실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는 잘 못했지만 ‘나는 여전히 손재주가 많고 호기심이 왕성하며 좋은 친구들을 많이 가지고 있고 땀흘려 운동할 때만큼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임을, 내 삶에는 여전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젊은 피(혈장)가 환자의 인지력을 회복하는데 별 효과가 없었다는 결과를 발표해 좌중을
실망
시켰다. 오랜 세월 진화로 결정된 인체의 생물적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만만치 않음을 짐작케 한다. 리뷰논문에서 저자들은 “지난 천 년 동안 인류가 생리적 한계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