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바로"(으)로 총 1,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음식 주문시간도 아까워 손님 없는 식당 찾는 지식 흡입가2022.07.05
- 여러 논평이 적혀있었다. 글씨체 또한 매우 수려했다. 이미 눈치챘겠지만, 그 학생이 바로 올해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교수)이다. 2011년 8월경 허준이 교수가 미시간으로 이사 가는 날에 맡겨둔 짐을 찾으러 왔을 때 찍은 사진. 왼쪽부터 허준이 교수, 김재훈 KAIST ...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수학동아 l2022.07.05
-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굉장히 간단하게 추측을 정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후 바로 논문을 썼다. Q. 8차원 케플러 추측을 해결한 같은 방법으로 24차원 문제도 같은 방식으로 풀었다. 여러 수학자와 함께 이메일로 소통한 결과, 불과 일주일 만에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A. 맞다. 8차원 ... ...
- [엄상일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난제인 조합수학을 대수기하학이란 도구로 해결한 아이디어맨2022.07.05
- 그래프의 개수를 센 수열이 로그-오목이라서 감소하기 시작하면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됐다. 허 교수는 그 후에도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는 오직 자기 자신만을 용서할 수 있다2022.07.02
- 것은 아닐까? 타인에 대한 미안함을 굳이 나를 향한 미움으로 바꿀 필요가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미워하는 마음으로 인해 바뀌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기억하자. ※관련자료 Hall, J. H., & Fincham, F. D. (2005). Self-forgiveness: The stepchild of forgiveness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5)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2022.06.30
- 이루어질 수 없다. 대학과 교수의 자격 한국의 교수사회와 대학이 경청해야 할 부분은 바로 ‘투명성의 보장’이라는 항목이다. 교수와 대학은 맬서스적 비극에 매몰되고 있는 과학계의 현실 및 해당 대학원과 연구실의 현실을 신입생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할 의무가 있다. 예를 들어 이번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격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들2022.06.28
- 크게 바뀌었다는 내용이다. HIIT가 심혈관계질환이나 대사질환 위험성을 낮추는 배경이 바로 미토콘드리아의 회춘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또 약발이 떨어졌는지 요 며칠 안 하고 있다가 지난주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을 읽고 다시 의욕이 생겼다. 운동할 때 혈액에서 수치가 올라가는 ...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2022.06.25
- 완전히 네모난 자국 안에 흰색의 결정이 가득 차 있습니다. 이 흔적을 남긴 범인은 바로 소금입니다. 소금 결정은 항상 정육면체 모양으로 자랍니다. 석회암이 만들어질 때 주사위 모양의 소금 결정이 다른 퇴적물과 함께 쌓인 것입니다. 나중에 소금 결정은 물에 녹아 사각형의 흔적만 남았고, 이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 손으로 만든 로켓으로 우리 위성을 우주에 올려놓은 순간 동아사이언스 l2022.06.21
- 200km를 통과했다. 발사 274초 후 고도 258km에서는 2단 로켓이 연소를 마치고 분리됐다. 곧 바로 3단 엔진 연소가 점화됐다. 3단 엔진이 목표 연소시간인 521초를 채우는지는 이번 발사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요소였다. 3단 엔진이 목표 연소시간을 채워야만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위성을 안착 시킬 수 ...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2022.06.18
- 평균 거리를 의미하는 천문단위(AU)로 환산하면 약 19.2 AU에 해당하는 거리다. 천왕성 바로 안쪽을 도는 토성이 태양으로부터 약 9.5 AU 거리에 있음을 생각하면, 천왕성의 발견으로 당시 인류가 인지하고 있던 태양계의 너비가 두 배 이상 넓어진 셈이다.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천왕성을 ...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2022.06.17
- 있다. 우주개발과 관련한 국제협력의 틀을 뒤흔드는 또 하나의 사건이 올해 발생했으니 바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침공에 대한 책임을 물어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대대적인 제재를 가했고, 그 결과 러시아는 다양한 우주협력 국제 프레임워크에서 강제 퇴출됐다.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