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측정한 뒤 합쳐 산출한다. 지난 2015년 발표된 한 논문에서는 백혈구의 텔로미어 길이, 고
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 수치, 폐 기능, 잇몸 상태 등 18가지 생물지표를 토대로 만든 생물나이를 38세인 사람들 천여 명에 적용했는데, 최소 28세에 최대 61세까지 분포했다(평균을 38세로 보정했을 때). 극단적인 ... ...
"인구 1만명당 의사수 많은 국가일수록 코로나19 확진율 높아"
연합뉴스
l
2020.12.28
의사 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구 대비 의사
밀도
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환자를 더 많이 찾아낼 수 있으며 이는 확진자 비율과도 연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1인당 보건 의료비 지출액이 높은 국가에서도 코로나19 확진율이 높았다. 이는 진단검사, ... ...
서울동부구치소 집단감염 원인은 '아파트형 구조·높은
밀도
·운동장 없는 실내생활'
동아사이언스
l
2020.12.25
있다”고 말했다. 동부구치소는 정원 2070명이지만 이달 13일 기준 2412명이 수용돼 수용
밀도
도 높다. 동부구치소는 근무자의 가족인 학생이 지난달 27일 확진된 이후로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에 동부구치소는 이달 18일 직원 425명과 수용자 2419명을 상대로 코로나19 전수조사를 한 결과 ... ...
따뜻해진 북극 바다, 바다 속 소용돌이 강해진다
2020.12.17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소용돌이가 치면 소용돌이 안쪽의 바닷물과 바깥쪽 바닷물이
밀도
와 염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면서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마셜 교수는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미래 북극의 환경은 갈수록 불안정해질 것”이라며 “생태계에서부터 기후까지 다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500회)항우울제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까
2020.12.15
비롯한 여러 사이키델릭은 정신가소제(psychoplastogen)로 신경돌기(neurite) 성장과 가시(spine)
밀도
, 시냅스생성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이들 물질의 부작용을 줄인 약물을 설계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셀 리포츠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 ...
차내 코로나19 전파 막으려면 어떤 창문 열어야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번째와 세 번째 그림을 비교하면 두 사람이 서로 먼쪽 창문을 열었을 때 에어로졸 입자의
밀도
가 낮고 전파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논문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걸린 사람과 한 차에 타면 감염될 확률이 높다. 차 안 공간이 좁아 사람 간 거리가 가까워 ... ...
콜센터 등 다중이용시설 코로나 감염 위험도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입증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면 시설의 인구
밀도
, 마스크 착용여부 등을 고려한 위험도를 예측해 최적의 방역 정책을 찾아낼 수 있다”며 “또 이동동선에 따른 위험도를 예측해 최적의 동선을 찾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를 주도한 유용균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될까? 예를 들어 세금을 왕창 물려서 기존의 세력권을 포기하게 만드는 것이다. 개체군
밀도
가 높아져서 침입자가 늘어나는 경우다. 터의 주인이 수시로 바뀌는 현상이 생긴다. 새롭게 터를 얻은 개체의 행운도 오래 가지 못한다. 선점권이 약해지면, 세력권을 둘러싼 경쟁이 점점 치열해진다. 짝짓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별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별을 찾지는 못했다. 두 별의 병합 직후에는 주변에 먼지
밀도
가 높아 별빛을 가려 관측이 안 되기 때문이다. 수십만 년이 지나 먼지가 흩어져 관측할 수 있게 됐을 때에는 원래부터 하나였던 별인지 병합된 별인지 알 수가 없다. 병합의 증거인 성운이 사라졌으니 말이다.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소재 겹과 겹 사이 표면을 정밀하게 설계해 동시에 끌어올리기 어렵던 에너지
밀도
와 안정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 차량이 사용하는 배터리보다 성능을 30% 올리면서도 10년을 사용해도 초기 용량의 84%를 유지하는 양극소재를 개발했다. 김 단장은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