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네스코 과학보고서와 한국의 과학기술
2021.06.17
-유네스코 과학보고서 2021,18쪽(온라인)”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구개발의
밀도
가 높은 국가입니다.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2013~2017년 거둔 국민총생산(GNP)의 약 40%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됩니다…한 가지 우려는 연구개발비의 큰 증가에도 불구하고 2010년 이후 과학기술 경쟁력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한계(찬드라세카르 한계) 이상일 때는 흰난쟁이별(백색왜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훨씬 더
밀도
가 높은 별로 진화하게 된다. 전쟁의 참화는 과학의 역사를 기묘하게 바꾸기도 한다. 에딩턴의 경우가 그랬다. 1차 대전이 발발한 1914년만 해도 영국에서는 징집제가 아니었다고 한다. 전쟁이 한창인 191 ... ...
샌프란시스코·시애틀·베이징…집단면역 선언한 도시들 '부럽지만 변수는 남아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장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미국 내 다른 도시에 비해 인구가 적다. 그러면서도 인구
밀도
는 높아 의료팀이 방문을 통해 접종을 유도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는 지난달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미국내 주요 도시들의 백신 접종률. 시애틀시 제공 ... ...
경제 발전한 도시가 녹지 더 많고 시민도 행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위성 데이터를 이용해 세계 60개국, 90개 도시의 녹지 면적을 조사했다. 분석 대상은 인구
밀도
가 가장 높은 도시로 설정했다. 선명한 녹지 이미지를 얻기 위해 각 지역의 여름 시기를 분석했다. 북반구는 2018년 6~9월, 남반구는 2017년 12월~2018년 2월의 위성 이미지가 활용됐다. 이후 정량화된 도시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억제 효과가 큰지도 확인했다. 오후 5시에서 8시까지 세 시간 동안 같은 조도(빛 에너지
밀도
)의 파란빛(파장 440~480㎚), 초록빛(500~540㎚), 빨간빛(610~650㎚)의 효과를 봤다. 그 결과 파란빛은 근시 억제 효과가 약간 있었지만 초록빛과 빨간빛은 효과가 없었다. 그렇다면 보랏빛은 어떤 경로로 작용을 ... ...
"코로나 위기도 거뜬"…'혁신기업 텃밭' 거듭나는 연구개발특구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연구개발(R&D) 특구 모델로 대학·연구기관 등 R&D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특정 분야의 고
밀도
집약공간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지난해 7월 강소특구에 지정된 서울 홍릉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와 고려대·경희대를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핵심기술 발굴에 집중하기로 했다. 임혜숙 ... ...
AI로 제작한 우리은하 주변 암흑물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기술인 딥러닝을 적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에 펼쳐져 있는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했다. 이를 통해 300만 광년의 해상도를 지닌 우리은하 주변 ‘우주 거대 구조’의 상세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 거대 구조란 우주에 분포하는 은하들이 이루는 거시적인 구조를 말한다. ... ...
인공지능이 우리은하 둘러싼 우주 속 암흑물질 지도 그렸다
연합뉴스
l
2021.05.27
공동 연구팀이 AI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 펼쳐진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해 냈다고 27일 밝혔다. 우주 속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고 중력만으로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으로 설명되면서 우리 눈에 보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수화물이 정말 비만의 주범일까
2021.05.18
에너지
밀도
를 한 요인으로 꼽았다. 채식인 고탄저지는 1g 당 1칼로리로 에너지
밀도
가 낮아 하루에 2㎏가 넘게 먹었지만, 육식 위주인 저탄고지는 1g 당 2칼로리로 하루 섭취량은 고탄저지의 3분의 2 수준이었다. 참가자들이 음식에 만족하고 마음껏 먹었음에도 고탄저지는 오히려 다이어트 효과를 ... ...
당국 "고위험군·고령층 1차접종 끝나는 7월 거리두기 개편안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거리두기 체계 중 1단계가 적용됐다. 해당 군은 모두 인구 수가 10만 명이 되지 않고 인구
밀도
가 낮아 코로나19 확산 위험이 낮다. 당국이 개편안 적용 시점을 7월로 잡은 것은 6월 말 코로나19 고위험군과 고령층에 대한 1차 접종이 이즈음 끝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75세의 경우 2차 접종까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