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혓바닥
설
황엽
뉴스
"
혀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성 구제역 발생 농가 둘로 늘어...위기경보 '경계'로 상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역시 방문을 자제해야 한다. 방역상 필요할 경우에는 가축시장도 폐쇄된다. 농식품부는
혀
재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 주변 3km 이내 지역을 방역대로 정해 집중소독을 하고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또 해당 농장은 무론 농장주 가족이 운영하는 농장에서 매몰처분(살처분)을 하고 주변 500m 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품종은
혀
로 핥을 때 돌기가 피부까지 닿지 못해 털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고양이
혀
를 모방한 빗이 나온다면 주인들이 수고를 꽤 있을 것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태아 뇌는 보헤미안 랩소디를 클래식으로 생각한다.과학으로 분석한 퀸 음악
2018.12.08
특수한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들려줬습니다. 그리고 초음파 기계를 통해 아기들이 입과
혀
를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태아는 전반적으로 팝 음악이나 락 음악에 비해 클래식 음악을 들을 때 더 큰 자극을 받았습니다. 흥미롭게도 보헤미안 랩소디는 클래식에 가까운 90%의 반응을 ... ...
브라질, 흰개미 탑과 야광 벌레와 개미핥기
팝뉴스
l
2018.10.21
거대한 덩치의 동물도 보인다. 바로 개미핥기이다. 시력은 약하지만 후각이 발달해있고
혀
도 길고 아주 끈끈해 개미굴에서 개미를 끄집어내 잡아먹기에 좋다. 아름다우면서도 치열한 생존 현장을 촬영한 사진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알고보면 기린도 무섭다
팝뉴스
l
2018.10.05
공포의 대상이다. 기린은 먹을 것을 향해 검은
혀
를 낼름거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혀
가 분홍색이 아니라 완전히 검은 색이어서 위압감 또는 거부감이 드는 게 사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새 모이를 훔쳐 먹는 곰
팝뉴스
l
2018.09.29
최근 공개되어 화제를 모았다. 만화에나 나올 것 같이 사랑스럽다는 평가가 많다. 또
혀
를 길게 빼고 배를 채우는 모습이 한 마리의 돼지를 연상하게 한다고 말하는 네티즌도 있다. 물론 실제로는 곰은 힘도 세고 포악하다. 길들여진 곰도 그럴텐데 사진 속 야생 곰이야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사람이 다른 종의 동물과 음성 언어로 진짜 대화를 나눈 예가 전
혀
없었던 건 아니다. 일부 앵무새가 제한적이나마 사람과 의미 있는 말을 주고받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가장 유명한 예가 아프리카회색앵무새 알렉스(ALEX)로 어휘력과 대화능력이 놀라운 수준이었다. 즉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앞을 총총! 아마존 체험기
2018.08.11
발소리에 우리 역시 놀라자빠진 적도 있다. 야밤에 숲에서 길을 잃어 두려움에 사로잡
혀
있던 때, 페커리 무리의 발소리로 불안감이 한 층 더 엄습하기도 했다. 조사 중 저 멀리서 오슬롯(고양이 크기의 재규어라 할 수 있는 육식동물)을 보는가하면, 무인카메라를 통해 왕개미핥기와 아마존의 최상위 ... ...
영장류-인류 언어 능력 차이, 비밀은 뇌 곳곳의 ‘크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비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던 교수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영장류로 올수록
혀
를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게 됐다는 뜻”이라며 “인간 언어 진화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를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MSG는 위험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09
혀
는 단백질의 감칠맛을 느끼도록 진화했죠. 문제는 단백질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
혀
의 맛 수용체가 느끼지 못한다는 겁니다. 맛 수용체는 단백질의 구성성분인 아미노산을 느낄 수 있는데, 그 아미노산 중 하나가 ‘글루탐산’입니다. 끓이거나 발효시켜서 고기 같은 재료 속에 든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