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애
자비
자혜
인후
친절
유전인자
다정
뉴스
"
인자
"(으)로 총 882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진출 첫 국산 항암제 유한양행 '렉라자'는 어떤 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유한양행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렉라자가 ‘상피세포성장
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표준치료법으로 FDA 사용 승인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미국 존슨앤드존슨 항암제인 리브리반트와의 병용요법으로 허가를 획득했다. 비소세포폐암은 암세포 ... ...
"암 억제 단백질, 손상된 DNA 합성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하는 과정은 규명되지 않았다. IBS 연구팀은 ATAD5가 Ub-PCNA 탈유비퀴틴화의 핵심
인자
임을 규명했다. ATAD5를 발현한 실험쥐를 이용해 ATAD5의 말단 부위가 DNA에 결합된 Ub-PCNA를 인식하고 탈유비퀴틴화 효소를 불러들여 Ub-PCNA를 변형 전의 PCNA로 환원시키는 탈유비퀴틴화가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 ...
식물 호르몬 분석해 '유전자 발현 조절 새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대한 결합 경쟁을 하는 것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밝힌 전사 억제
인자
들에 의한 옥신 작용 조절 메커니즘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는 생명체의 모습을 유전자의 새로운 전사조절 수준에서 조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중국서 쌓인 눈 높이로 한국 폭염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있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기존 기상 예보 모델에서 반영하지 못한 원격상관
인자
들과 폭염 사이의 관계를 모니터링해 예측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라면서 “이번 연구가 한국의 폭염 이해와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점도 확인했다.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정상적 면역 활성 유발
인자
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의 형성 및 조절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 계통 질환을 비롯해 다양한 퇴행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 ...
수컷이 면역력 더 강한 이유, '단백질 활성화'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두 가지 성별로 나뉜다. 연구팀은 예쁜꼬마선충 수컷에서 자기포식에 중요한 전사
인자
인 단백질 ‘에이치엘에이치30/티페브(HLH-30/TFEB)’가 높게 활성화돼 자웅동체보다 다양한 병원균에 더 높은 면역력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HLH-30/TFEB는 외부 스트레스에 대응한 자가포식을 향상시켜 ... ...
빛으로 '기억 소멸' 조절…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맞추며 최적화된다. 양성 조절
인자
가 부족하면 기억 형성에 문제가 생기고 음성 조절
인자
가 손상되면 기억이 제대로 소멸하지 않아 PTSD 같은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연구를 통해 기억 형성 단계에서 PLCB1 단백질이 활성화되면 공포 기억 반응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 위협 '흰코 증후군'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침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두 감염 경로가 공통적으로 상피세포성장
인자
수용체(EGFR)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냈다. EGFR은 동물의 표면이나 장기의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의 성장 호르몬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흰코 증후군을 막을 ... ...
[동물do감] 빵 먹고 자란 '도시 갈매기'도 생선 제일 좋아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사람의 음식을 먹는 것은 선호해서가 아니라 편리함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엠마
인자
니 영국 엑서터대 보건 및 생명과학부 박사후연구원팀이 청어갈매기(학명 Larus argentatus) 새끼들이 먹고 자란 먹이의 종류가 생선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1일 국제학술지 ... ...
젊은 대장암 환자 사망 위험, 양자컴퓨팅 기술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양자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양자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
인자
로는 나이, 성별과 같은 환자 정보 데이터와 병기, 치료 정보에 관한 임상데이터 등 총 93개의 변수를 적용했다. 연구팀은 해당 모델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적의 변수 개수, 표본 크기, 결과변수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