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애
자비
자혜
인후
친절
유전인자
다정
뉴스
"
인자
"(으)로 총 830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료 표적 없는 비흡연 폐암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있으며 특히 여성의 발생률이 높다. 현재 비흡연 폐암 환자의 약 80%는 상피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EGFR)와 암세포 성장을 유발하는 ‘ALK 단백질’ 등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가 처방되고 있다. 표적이 없는 나머지 환자는 부작용이 많고 항암제 반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세포독성 항암제를 사용하고 ... ...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또다른 유전
인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확인을 수 있었다”며 “이번 연구로 이제 15% 이상의 사례에서 치매 발병 원인
인자
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알츠하이머 예방 개입을 위해서는 젊을 때 APOE4 동형접합체 보유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고도 설명했다. APOE4 사본이 2개인 유전적 특징을 가진 사람들을 모니터링하면 ... ...
식약처, 유방암 신약 '티루캡정' 허가…"새로운 치료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종양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억제한다. 이 약은 호르몬 수용체(HR) 양성, 인간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HER2) 음성이면서 세포증식, 생존, 대사와 관련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PIK3CA/AKT1/PTEN’ 유전자 중 한 가지 이상 변이가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성인 환자가 대상이다. ... ...
간암 세포 키우는 유전물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과도하게 발현한다는 점에 착안했다. 동물 실험을 통해 miR-1290이 간암 세포 성장 조절
인자
중 하나의 유전자를 발현하는 데 관여한다는 점을 규명했다. 또 정상인과 간암 환자의 혈액 속 엑소좀을 분석했다. 엑소좀은 세포 내에서 생성돼 외부로 방출되는 세포 외 소포체다. 분석 결과 miR-1290가 ... ...
[과기원NOW] 포스텍·대구한의대, 신장 출혈과 회복 돕는 지혈 스펀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유래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dECM)'이라는 물질에 주목했다. dECM은 몸속의 단백질과
인자
들을 포함하고 있어 고유한 미세환경을 잘 재현하고 생체적합성도 높다. dECM에 화학적 가교제를 섞어 다공성 스펀지인 '크라이오겔'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겔은 혈액을 잘 흡수해 동물 실험에서도 기존 젤라틴 ... ...
온실가스 메탄, 고부가 화학원료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및 운전 조건 등
인자
를 도출했다. 그리고 메타 휴리스틱스 방식의 머신러닝을 활용해
인자
를 계속 변화시키며 최고의 반응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반응기 설계 방법을 예측했다. 메타 휴리스틱스란 최적화 문제 해결을 위한 AI 알고리즘이다. 연구팀은 "앞으로도 AI를 활용한 촉매·반응기 개선을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겪고 있는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나노입자가 전달한 표적 유전체가 세포노화유도
인자
인 ‘p16ink4a’ 유전자를 억제함으로써 늙은 미세아교세포를 젊은 미세아교세포로 역노화시켰다. 이를 통해 미세아교세포의 탐식 및 인지기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 ...
"성인 비만 위험 6배 높이는 희귀 유전자 변이 2개 발견"
연합뉴스
l
2024.04.05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비만은 심혈관 질환과 제2형 당뇨병 등의 중요 위험
인자
지만 어떤 유전적 요인이 사람들을 체중 증가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지는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어린 시절부터 식욕을 조절하는 뇌의 렙틴-멜라노코르틴 경로에 작용, 포만감 신호 ... ...
항균제 안듣는 악성 결핵균도 잡아내는 '약물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대상으로 한 폐암 치료제로 각광받게 됐다. 동양인에게서만 많이 발생하는 상피세포성장
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 유전자에 효과를 가진 사실이 새롭게 확인된 것이다. ● 국내에서도 연구 활발 국내에서도 약물 재창출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현숙 서울대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R-loop 구조가 많이 축적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텔로미어 핵산 구조가 암 발생의 중요
인자
임을 밝혔다. R-loop 구조가 축적된 텔로미어는 두세 개가 모이는 텔로미어 클러스터링 현상을 보였다. 생물리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는 액체-액체 상분리 현상이었다. 텔로미어 상분리는 텔로미어 연장과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