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자공학"(으)로 총 9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KAIST,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21
-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YAP 발현 증가와 TM4SF19 단백질의 이합체 형성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의과학대학원 김준 교수팀이 발암 위험인자인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의 발생과 성장에 관여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흡연 및 음주가 직접적인 DNA 손 ... ...
- 복잡한 미생물 대사과정, AI 기술로 풀었다동아사이언스 l2024.02.14
- 윤성호 건국대 시스템생명공학과 교수(왼쪽)와 우현재 석사과정생.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대사반응은 세포 내 대사물질이 생성·분해되는 생화학 과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제어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윤성호 건국대 ...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도서관, DNA어린이과학동아 l2024.02.10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게 새로운 기술은 아닙니다. DNA는 지구에 생명체가 등장한 이후 수십억 년 동안 쭉 생물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물질이었어요. DNA 저장 장치는 기존 저장 장치와 무엇이 다른걸까요. ○ 엄청나게 작고 엄청나게 안전한 DNA (왼쪽부터) 캡슐모양 ... ...
-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7
- 청색광에 의해 활성화되는 paCas13 시스템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허원도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리보핵산(RNA) 유전자가위 기술(CRISPR/Cas13) 활성을 화학 유전학 및 광유전학으로 조절해 시공간적으로 표적 RNA 염기를 편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조가 알려 ...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6
- 역방향 알루 반복 구조로 인한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암 등 종양 형성과 퇴행성 뇌질환 등 메신저리보핵산(mRNA)이 변화하는 다양한 질환에서 '역방향 알루 반복 구조(IRAlus)'라는 새로운 발병 원인을 최초로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질환 특이적으로 mRNA가 변화하 ... ...
- 치료 어려운 자가면역질환, 새 치료법 나올까동아사이언스 l2024.02.05
- 연구계는 기억-T세포, CAR-T 세포 등을 활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법을 모색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신체의 면역계가 자신의 세포와 조직을 외부의 것으로 인식해 파괴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인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할 실마리를 찾았다. 임상시험 단계로 접어든 치료법도 등장하 ... ...
- 국내 연구진, 희귀 난치 하지마비 유전자 치료 길 열어동아사이언스 l2024.01.24
- 제1저자 임정화 책임연구원, 연구책임자 정초록 책임연구원(뒷줄 왼쪽부터 두 번쨰, 세 번째). 생명연 제공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던 희귀 난치병인 유전성 하지마비를 극복할 실마리가 제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정초록 줄기세포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이 희귀난치 ...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동아사이언스 l2024.01.08
- 난치병 치료제의 새로운 활로로 여겨지는 유전자가위 치료제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난치성 유전질환인 '겸상적혈구 빈혈'을 치료하기 위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치료제가 지난해 미국·영국 등지에서 승인받으며 금세기 최고의 생명공학 기술로 각광받았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활 ... ...
- '농업 분야 슈바이처' 한상기 교수 등 4인 과학기술유공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3.12.28
- 故 김성완 교수, 故 김재관 교수, 한상기 교수, 故 송희성 교수(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고(故) 김성완 미국 유타대 교수 등 4명을 과학기술유공자로 신규 지정했다. 과기정통부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고 김성완 미국 유타대 교수, ... ...
- 저산소 환경에서 '암세포 사멸' 유도하는 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산소 농도에 따른 SETDB1 단백질의 조절 모식도. 한국생명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저산소 환경에서 세포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하는 단백질을 발견했다. 저산소 환경을 좋아하는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혁신 항암 신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정훈 질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