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염색"(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동아사이언스 l2019.08.23
- 뇌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뇌조직 손상이 줄어들었음을 조직 면역 반응 염색을 통해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생쥐의 기억을 담당하는 뇌 속 해마 부위에 칩을 삽입해 뇌의 신호를 신경세포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했다. 브레인칩은 신경세포 하나하나로부터 신호를 ...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10
- 내놓는 독소 분자를 변형해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했다. 사진은 보라색으로 염색한 황색포도상구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2만 배 확대해 관찰한 것.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천연단백질의 구조를 바꿔 내성균 위험이 적은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프랑스 렌느1대와 ... ...
- 스트레스 받은 뇌, 줄기세포는 스스로를 먹어 파괴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하는 유전자 Atg7를 없앤 쥐에게 7일간의 만성 구속 스트레스를 겪게 했다.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신경줄기세포가 눈에 띄게 줄었다(왼쪽 두 번째). 하지만 Atg7 유전자 결손 쥐는 신경줄기세포 수가 줄지 않았다(맨 오른쪽). 사진제공 DGIST 연구팀은 자가포식이 해마의 신경줄기세포 손상을 어떻게 ... ...
- 화학硏, 간경변 치료제 새 후보물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대리석 무늬처럼 생긴 흉터조직이 확인된다. 신약후보물질(GM90194)을 투여하고 면역염색법으로 평가한 결과, 투여군의 간 섬유화가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오른쪽). 사진제공 ...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는 프로모터, 증폭기 역할을 하는 인핸서 부분의 염색질 접근성이 떨어졌다. 사람은 체지방 비율, 특히 백색지방의 양이 많은데다 지방을 태우는 물질대사 능력마저 유전적으로 떨어지는 탓에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 연구를 이끈 그레그 레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염색체 갯수가 결정되기도 했다. 혹자는 말한다. 만약 치오의 발견이 없었다면, 인간 염색체의 갯수는 인간유전체프로젝트 이후에야 결정되었을지 모른다고. 정말 그럴지도 모른다. NIH제공 참고자료 - McManus, Rich (1997-02-11), "Photographer, Prisoner, Polyglot: NIDDK's Tjio Ends Distinguished Scientific Career", The ... ...
- 식중독·파상풍균 검출 쉬워진다동아사이언스 l2019.05.13
-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장 교수는 “백고를 이용하면 최소한의 염색 과정으로 다양한 그람양성균을 살아있는 상태로 탐지할 수 있다”며 “폐수 모니터링과 세균 감염 진단 등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치매 원인 뇌 속 미세아교세포 실시간 관찰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06
- 2만 여 종의 라이브러리를 제작했다. 이들 중 염색되지 않는 세포들을 모아 분석하니 염색 성능이 ‘Ugtla7c’라는 유전자 존재 여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CDr20 자체는 형광이 약하지만 Ugtla7c 효소와 만나면 분자구조에 변화가 생겨 강한 붉은색 형광빛을 내는 것을 밝혀냈다. 장 ... ...
- 김형범 연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2019.05.01
- 또한 유전자가위가 표적 부위에 구조적으로 잘 접근할 수 있도록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염색질 접근성까지 고려했다. 인공지능이 예측한 유전자가위의 효율과 실제로 실험으로 측정한 것을 비교해보니 신뢰도가 약 0.87로 높게 나타났다. 이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실험할 때보다 시간과 비용을 ... ...
- 신장이식 거부반응 10분만에 알아내는 AI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4.29
- 2016년 서울아산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신장 조직 슬라이드 200개를 면역염색한 데이터를 AI에게 학습시켰다. 이 AI에는 사람 뇌의 신경망을 흉내 내 이미지를 학습할 수 있는 기술(CNN)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추가로 신장 조직 슬라이드 180개를 이용해 실제로 AI가 거부반응을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