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염색법
염색업
착색
물들임
뉴스
"
염색
"(으)로 총 263건 검색되었습니다.
[잠깐과학]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5.02
밝혀진 것이지요. * 용어정리 카밀로 골지(1843~1926) : 이탈리아의 해부학자로 조직
염색
법을 개발하는 등 세포생물학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몸의 여러 곳으로 단백질을 운반하는 세포 소기관인 ‘골지체’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호(5.1) [이달의 과학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갸웃했다. 호중구는 호산구, 호염구와 함께 이름만 알고 있는 정도였다(각 세포의 핵을
염색
하는 시약의 산성도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알고 보니 호중구는 혈액의 전체 백혈구의 50~70%를 차지하는 선천 면역계의 주력부대로 세균이나 곰팡이 감염에 대응하는데 필수적인 백혈구다. 병원체가 ... ...
얼마나 물들었나···
염색
상태,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6
환경규제 이중고에 직면한 국내 섬유업계의 경쟁력을 높이는 게 목표다. 노동집약적인
염색
산업에서 공장 자동화의 필요성이 제기된 지는 오래됐지만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다. 그러던 것이 4년 전부터 이를 현실화할 센서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완전자동화 기술에 도전해볼 만한 여건이 마련되고 ... ...
삼성전자 "폐플라스틱 1병으로 갤S20+ 케이스 2개 제작"
연합뉴스
l
2020.03.16
이를 가공해 작은 칩 형태로 만들고, 이를 실로 만든 뒤 여러 가지 색상을 입힌다. 이후
염색
한 실을 스마트폰 케이스 제작 섬유로 만든다. 500㎖ 용량 플라스틱병 1개로 갤럭시 S20+ 케이스 2개를 만들 수 있다. 또 재활용 실 제조 과정은 기존 공정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고 에너지 소비가 낮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
2020.03.10
생각이 든다. 코로나19바이러스의 수용체 역할을 하는 ACE2 단백질의 유전자는 X
염색
체에 있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잘 달라붙는 유전형을 지닌 남성은 모든 세포가 바이러스에 취약하지만 여성은 세포의 절반만 영향을 받는다. 위키피디아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얼마나 물들었나'
염색
상태 실시간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5
심재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섬유그룹장 연구팀은
염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불량 발생을 줄이는 ‘
염색
정보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 기술 ... 낮추는 한편 빅데이터 기술과 연계해 품질 예측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염색
가공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3D 홀로그래피로 세포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속 물질량을 측정한다. 빛을 쪼이는 것만으로 세포의 물질량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염색
약을 넣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대식세포가 과도하게 쌓인 지방에 의해 거품세포로 변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대식세포는 몸속에 침입한 세균을 먹는 면역세포로 ... ...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세포 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속속들이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세포에서
염색
질을 만드는 과정과 뉴런이 생성되며 서로 달라붙는 과정, 세포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엔도솜’이 움직이는 모습 등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장면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헤스 교수는 “이미 수많은 ... ...
'미니장기'로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이식해 치료를 할 수 있다. 사진은 구본경 IMBA 교수팀이 만든 소장 오가노이드를 형광
염색
해 관찰한 모습이다. 구본경 교수 제공 오가노이드가 AI보다 나은 것은 가장 확실한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AI가 유전자를 샅샅이 알고 있어도 사람 몸에서는 유전자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일어나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쭈그러졌고(흰 화살촉) 아폽토시스가 일어나는 세포는
염색
질(chromatin)이 수축돼 있다(흰 쌍 화살촉). 괴사가 일어나는 세포는 세포질과 소기관이 부풀고 세포막이 터지고(검은 화살촉) 자식작용이 일어난 세포는 이중막 소체가 형성돼 있다(검은 화살표). '셀' 제공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