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두산연강학술상에 고현용 KAIST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고 연구원은 소아 뇌종양 환자들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뇌전증(간질)의 원인이 태아의
대뇌
신경줄기세포에 생긴 돌연변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연구결과는 지난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매디슨'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소아 뇌종양은 성인 뇌종양에 비해 난치성 ... ...
"기온 1도 오르면 저혈압 환자 1.1%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혈액량을 재분배, 혈액량을 감소시켜 혈압이 떨어질 수 있다"며 "따라서 관상동맥이나
대뇌
의 혈류가 감소해 치명적인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름철 폭염이 발생하는 기간에는 가급적 더위에 노출되지 않는 게 좋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 환경 저널' 6일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도 사람처럼 잠을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관찰해 기록할 수 있는 장비를 만들어 수족관에 설치한 다음 관찰했다. 물고기는
대뇌
피질이 없어 뇌파를 측정하는 대신 신경세포 활동을 토대로 '수면신호'을 관찰했다. 그 결과 제브라피시가 잠을 자는 동안 수면신호가 일정한 패턴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심장과 근육 등은 움직이지만 뇌는 ... ...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발표됐다. 신경줄기세포는 모든 종류의 뉴런으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다. 뉴런을
대뇌
피질의 정확한 위치로 옮겨 두뇌가 형성되는 과정 전체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줄기세포의 섬모가 뇌의 끝까지 뻗어 있어 뉴런이 이것을 사다리처럼 타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때문에 담당하는
대뇌
피질의 면적도 얼마 되지 않는다. 몸을 우리나라 지도라고 보면
대뇌
피질은 국회에 해당한다. 서울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정보량에 해당)의 19%가 살기 때문에 국회의원수는 49명으로 전체 지역구 의원수 253명의 19%에 이른다. 반면 ‘발바닥이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3월 29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isci.2019.02.017
대뇌
전두엽은 인지와 사고 능력을,
대뇌
기저핵은 말하기 능력을 담당하는 등 뇌의 특정 부위에 해당하는 정신 활동은 일부 확인된 상태다. 조 교수팀은 이미 밝혀진 뇌의 기능별 구역 164개에 존재하는 뇌세포 1억 개의 위치와 상호 연결 상태를 ... ...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01
깨어났는데 몸은 계속 마비가 된 상태일 때 발생한다.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
대뇌
’에서 만든 운동 신호가 척수에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각 세포’에 도달해야 한다. 그런데 가위눌림이 발생할 때는 뇌의 ‘연수’ 부분에서 뻗어 나온 신경세포가 전각 세포를 억제해 몸이 움직이지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반면 게임처럼 단순한 사고를 반복하면 전두엽 주변의 단편적인 연결성만 증가한다.
대뇌
의 보상회로는 다소 취약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 교수는 “게임을 지속적으로 하면 재미를 느끼는 보상회로를 끊임없이 자극하고 결과적으로 재미를 느끼는 보상회로의 역치가 높아져 웬만한 ... ...
'80년대초 첫 제기된 게임중독, 만장일치 질병 인정까지' 과학적 논쟁 아직 진행中
2019.05.26
인지신경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액션이 가미된 게임이 주의력의 방향을 조절하는
대뇌
피질, 주의력을 유지하는 전두엽, 갈등 해결을 맡고 있는 전측대상회에 자극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2016년 미국 콜롬비아대 연구팀도 게임 시간이 길수록 아이들의 정신건강 및 인지·사회적 능력이 ... ...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연구원이 포르말린에 고정된
대뇌
반구를 들어보이고 있다. 한국뇌연구원 제공. 한국뇌연구원은 한국뇌은행 네트워크를 통해 뇌질환 연구를 위한 ‘사후 뇌기증’이 100증례를 넘었다고 22일 밝혔다. 사후 뇌기증이란 뇌질환 연구를 위해 유족의 동의를 얻어 고인의 뇌를 기증하는 것이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