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면"(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Go! Go! 고고학자] 마룻바닥 밑에서 도굴품이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임당동 1호 고분과 인근에 있는 부적리의 고분을 노렸어요. 그들은 1~2월, 늦은 밤에 고분 측면에 5~10m 길이의 굴을 파 비싸게 팔릴 만한 유물을 훔쳤지요.훔친 유물은 주로 유물을 불법으로 유통하는 사람들을 통해 개인 소장자들에게 넘어가요. 도굴꾼들은 이 과정에서 유물의 출처를 남기기는커녕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생산 및 관리에 대한 지표를 평가한다. 이후 식용 친화성, 건강성 등을 고려한 소비자 측면 항목에서 점수를 매긴다. 현재 국내에서 식품으로 등록된 곤충 8종을 포함해 지금까지 국립농업과학원이 후보군에 올린 25개의 곤충 가운데 최고 점수를 받은 식용 곤충은 2016년 선정된 쌍별귀뚜라미다. ...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존재가 중국인의 뇌리에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반면 우리나라나 미국처럼 자유의 측면에서 평범한 나라들은 오히려 이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미 마스크 사재기로 마스크 가격이 서너 배 뛰었고, 동네 마트에서는 구하기조차 쉽지 않다. 전염병 창궐로 인한 약탈이나 폭동 사례는 ... ...
- [한페이지 뉴스]유인원도 인간처럼 좌우 뇌 비대칭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좌뇌와 우뇌는 신경세포의 분포와 화학작용, 해부학적 구조 등의 측면에서 미세하게 다르다. 이처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두 반구의 차이를 뇌의 비대칭성이라 부른다. 그런데 최근 뇌의 비대칭성이 인간과 유인원의 공통된 특징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와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훨씬 도움이 됩니다.따라서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이 마스크를 쓰는 것은 예방 측면에서는 큰 효과가 없습니다. 당연히 KF80(0.6μm 이하 입자를 80% 이상 걸러냄), KF94(0.4μm 이하 입자를 94% 이상 걸러냄), KF99(0.4μm 이하 입자를 99% 이상 걸러냄) 등 마스크의 종류를 따지는 것도 의미가 없습니다.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때문이다. 먹을 것을 스스로 구하지 않으니 그게 어디냐고 하겠지만, 그런 비난도 억울한 측면이 있다. 지금처럼 문명이 발달하기 전의 인간을 생각해 보자. 인간은 자연에 존재하는 과일을 따 먹고, 동물을 잡아먹었다. 인간의 몸속은 기생충에겐 우주 그 자체, 그 안에 있는 음식을 먹는 게 그리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조만간 획기적인 발전이 이뤄질 수 있다”면서도 “향후 몇 년간은 효율과 제작 공정 측면에서 우수한 단결정 태양전지판을 대체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건기연은 제로카본그린홈에서 태양광 발전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구조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은 태양전지판을 3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베타’의 프로스트는 논리를 넘어선 인간의 감정을 느끼기 위해 인간의 여러 측면을 연구합니다. 지구의 경치를 인간처럼 감상하기 위해 인간의 눈을 닮은 모조 장치를 만들어서 쓰기도 하죠. 인간의 육체를 되살리고 신경계의 작동 방식을 연구해 자신의 의식을 육체 안으로 옮깁니다. 처음에는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료들을 참고했기 때문에 수십 년 내 실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봅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미국의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의 로봇을 참고하셨다고요?맞아요. 인간의 형태를 벗어난 로봇을 추구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무엇보다 저렴한 ... ...
- 비자림로 확장 논쟁 1 도로 너무 비좁다! VS 원활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게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로의 확장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교통적 측면만 고려했을 때의 의견이에요. 환경보호와 관련된 논쟁은 사회적 가치와 철학의 문제이기 때문에 공학적 시각으로만 접근하기 상당히 어려워요. 환경보호와 개발 사이에 어떤 것을 더 우선으로 둬야 할지는 사회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